
이명박 대통령이 30일 밤 서울 양천구 목동 <에스비에스> 스튜디오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대통령과의 원탁대화에서 참석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부터 탤런트 박상원씨, 조국 서울대 교수, 김형민 에스비에스 부국장, 이 대통령, 정갑영 연세대 교수, 김민전 경희대 교수. 청와대 사진기자단
“서울 시내 화염병에 신속 대응했을 것” 경찰 두둔
“방송법 개정 일자리 창출” 되풀이…국정 기조 고집
“방송법 개정 일자리 창출” 되풀이…국정 기조 고집
이명박 대통령은 ‘용산 철거민 참사’ ‘언론 관계법’ 개정, 개각 등 최근 시국 현안과 관련해 빚어진 거센 사회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기조를 바꿀 뜻이 없음을 분명히했다.
이 대통령은 용산 참사와 관련한 질문에 정부의 사과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에 대해서도 “지금은 내정을 철회할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참사’와 관련해 “과도한 강경책 아니냐”는 조국 서울대 교수의 질문에 “완전히 일방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고 전제한 뒤, “‘용산 문제’라고 하는 것은 우선 경찰이 하나 죽었고, 철거민이 희생됐다는 점에서 있어선 안 된다는 문제가 있고, 이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는 게 아니고, 다시는 이런 문제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서울시장 해서 잘 아는데, 철거민이 망루를 짓는 경우가 자주 있다”며 “(이번 용산 사고는) 국도 1번도로에서 일어났고, 시너병이 던져져서 불이 붙고, 보도를 보니 경찰이 빨리 갔을 것이라고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는 경찰의 주장과 거의 일치한다.
이 대통령은 “(철거민의) 85%는 지방자치단체가 합의가 쉽게 된다. 마지막 15%는 합의가 잘 안 된다”며 “그 사람들 문제 해결해 주는 정부의 기관, 조직이 있어야 된다. 호소할 길 없으니까, 폭력단체, 폭력조직에 의존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는 ‘용산 참사’ 이후 정부가 추진 중인 철거과정에서의 분쟁을 해결하는 정부기구 설립을 말하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김 청장 내정자의 거취에 대해 “조사를 해서 (검찰) 조사결과에 따라 조치하면 되는 것”이라며 “정치적 이슈로 만들어가지고, ‘좋은 기회 왔다’고 해서, 이걸 가지고 다른 것까지 (확대하는 것은) 책임있는 사람이 할 일은 아니다”고 말해, 야당과 시민단체의 ‘용산 참사’에 대한 정부 비판을 정치적인 목적에 의한 것으로 단정지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앞뒤 가리지 않고 사퇴시킨다면, 공직자들이 누가 일하겠느냐? 가만 있으면 된다”고 말해 검찰 수사결과에 따라 김 청장 내정자의 인선을 강행할 수 있음도 내비쳤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무조건 경찰 편을 든다거나, 철거민 문제를 삼는다는 게 아니고, 문제의 원칙과 책임을 얘기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