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청와대 사람들 입에서는 ‘자신감’, ‘주도권’ 등의 단어가 많이 나온다. “이제 좀 뭔가 바뀌는 것 같다”는 얘기도 자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5일 분열·부패·정쟁을 해소할 ‘근원적 처방’을 언급한 데 이어, 22일에는 ‘중도 강화론’을 화두로 던져 논쟁을 유발시키며 정국을 주도하는 형국에 대한 자평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26일 “이 대통령이 ‘중도’라는 방향을 제대로 설정해 오랜만에 의제를 주도하고 있다”며 고무된 분위기를 전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이 연일 ‘서민정책’을 강조하자 야당에서도 이 대통령에 대한 공격지점을 찾기 애매하게 된 면이 있다”며 “대통령이 드디어 정치에 눈을 돌린 것”이라고 말했다. 여야 정치권이 이 대통령이 제시한 ‘근원적 처방’이나 ‘중도 강화론’의 프레임 안에서 찬반 논쟁을 하며 끌려가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이다.
다른 관계자는 “사교육비 절감 대책의 불씨가 다시 살아나게 돼 다행”이라며 “직원들 사이에 ‘이러다가 아무것도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있었는데, 기대를 걸어볼 만하게 됐다”고 말했다. 청와대 직원들은 그러나 “이제부터 담론의 내용을 어떻게 채워갈지가 문제”라며 정책·홍보 강화 방안 마련에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런 분위기 속에 각계 의견수렴을 거쳐 7월 중 청와대·내각을 대폭 개편하는 쪽으로 구상중이라고 참모들이 전했다.
이 대통령이 이날 정책자문단 교수 등 외부 전문가 11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조찬간담회를 한 것도 ‘소통’ 강화의 일환이다. 참석자들은 이 대통령에게 “중도 강화론의 내용에 대한 고민이 더 많아야 한다”, “서민정책·소통을 더 강화해야 한다”, “정치인들에게 (입각 등) 역할을 줘야 한다” 등의 건의를 했다. 이 대통령은 주로 듣는 쪽이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확대비서관회의에서도 “앞으로 정책을 수립·발표할 때 서민들에게 어떤 영향과 혜택을 줄 것인지 더 깊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