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하 관련 발언들
2008년 “4대강이면 어떻고 운하면 어떠냐”
2009년 “운하는 다음 정권이…” 묘한 여운
2009년 “운하는 다음 정권이…” 묘한 여운
2008년 거세게 타오른 ‘촛불’은 15년 넘게 운하 건설에 대해 ‘꿈’을 키워온 이명박 대통령을 주저앉혔다. “국민이 반대한다면 대운하를 하지 않겠다”는 대통령의 공식 선언이 나온 뒤, 여권에선 ‘한반도 대운하’란 단어는 금칙어가 됐다.
하지만 운하는 이후 ‘4대강 살리기’라는 새로운 이름표를 달고 재등장한다. 한나라당 친이계의 핵심인 정두언 의원이 “운하의 핵심인 ‘물길 잇기’는 나중에 하되, 일단은 수질개선·환경정비사업을 먼저 하자”는 ‘분리추진론’을 꺼내든 것이다. 이에 이 대통령도 “물길은 나중에 잇자”는 입장을 밝혔다. 뱃길을 만들자는 데선 한발 물러난 것이다.
그럼에도, 이 대통령은 틈날 때마다 운하에 대한 집착을 드러냈다. 4대강 사업 예산안에 대한 국회 심의를 앞둔 2008년 말, 이 대통령은 “4대강정비사업이면 어떻고 운하면 어떻냐”며 “그런 것에 휘둘리지 말고 예산이 잡혀 있다면 빨리 일을 해야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편에선, 4대강사업이 운하로 가는 전단계라는 의심에 힘을 실어주는 발언이 계속됐다. 2008년 말 박병원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은 공개 토론회에서 “4대강 수질개선사업은, 경북 북부에서 소백산맥을 넘어가는 게 이뤄지면 대운하가 되는 것”이라며 “수질개선 뒤 대다수 사람들이 대운하 하자고 하면 하지 말자고 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11월27일 에스비에스를 통해 전국에 중계된 ‘국민과의 대화’에서도 “4대강사업이 운하가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하려면 다음 정권이 하는 것이다. 제가 할 게 아닌데 뭐라고 대답하겠느냐”고 말해 4대강 사업이 대운하로 발전할 수 있다는 해석을 불러일으켰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