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오른쪽)과 안규백 민주통합당 국방위 간사가 11일 오전 국회 국방위원장실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은 여ㆍ야의 이견으로 무산됐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부적격 김병관도 임명강행할 듯
민주당 “계파수장 수준의 인식”
민주당 “계파수장 수준의 인식”
“정치가 국민 앞에 앞장설 거란 말은 무수히 해 왔지만 기득권 싸움 때문에 실종되어 가고 있다. 정치에 묶여서 국민을 위한 정치가 실종되어 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11일 열린 새 정부의 첫 국무회의에서 이렇게 말했다.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가 ‘뜻’대로 안 되는데다,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까지 이날 오전 무산되자 야당을 거칠게 비난한 것이다.
박 대통령의 발언은, 야당이 ‘기득권을 위한 정치’를 고집하면서 자신이 구상하는 ‘국민을 위한 정치’가 근본부터 꼬이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과연 정치가 국민 입장에 서 있는지 돌아봐야 할 때다. 국민과 나라의 앞날에 중대사가 아닌 서로의 견해차와 시각차는 이제 내려놔야 한다. 정치란 건 국민을 위해 있는 것”이라고 정치권에 훈계했다. “나라와 국민을 위해 하루속히 정부조직법을 통과시켜 달라”는 요구도 거듭했다.
민주통합당은 박 대통령의 발언이 “적반하장”이라고 반박했다. 정성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정부조직법은 박 대통령이 나서서 원안고수 지침을 설정했기 때문에 협상이 진척되지 못한 것이다. 국민통합과 정치의 중심에 서야 할 대통령이 과거 특정계파 수장 수준의 인식을 벗어나지 못한 채 정치를 묶어버렸기 때문에 오늘의 국정혼란이 야기된 것임을 직시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김병관 후보자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을 무산시킨 야당을 향해 노골적인 불만도 드러냈다. 그는 “북한이 연일 전쟁을 위협하고 있는 위기 상황인데, 안보 컨트롤 타워라고 할 수 있는 국가안보실장과 국방장관이 공백이고, 국정원도 마비상태”라고 말했다. 안보 위기를 명분으로 내세워, ‘비리 백화점’으로 지목된 김 후보자의 임명 강행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단 한 명의 장관도 사퇴시킬 수 없다’는 박 대통령의 고집스런 태도는, 야당 대표 때와는 180도 다른 모습이다. 박 대통령은 한나라당 대표 때인 2006년 2월,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한나라당의 반대를 무릅쓰고 유시민 당시 열린우리당 의원을 보건복지부 장관에 임명하려 하자 “대통령이 국무위원 청문회의 입법 취지를 존중하지 않고 무시하는 데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당시 유 전 의원의 복지부 장관 내정을 “사립학교법 날치기 처리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규정하고 ‘사립학교법 개정 저지 원외 투쟁’과 연계해 청와대를 향한 공세의 수위를 더욱 높였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부적격 김병관 12일 임명할듯
■ 새 노동장관 “전교조 법외노조화 시간 갖고 논의”
■ 김부겸 “민주당 주류 대선 패배 책임 있는게 사실”
■ 낙하산 안한다더니…‘MB 코드→박근혜 코드’…정권초 제사람 심기 본격화
■ [화보] ‘귀국’ 안철수 “부산 영도 출마 안한 이유는…”
■ 박 대통령, 부적격 김병관 12일 임명할듯
■ 새 노동장관 “전교조 법외노조화 시간 갖고 논의”
■ 김부겸 “민주당 주류 대선 패배 책임 있는게 사실”
■ 낙하산 안한다더니…‘MB 코드→박근혜 코드’…정권초 제사람 심기 본격화
■ [화보] ‘귀국’ 안철수 “부산 영도 출마 안한 이유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