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비서실 비서관 40명 ‘지각 인선’
박 대통령 보름만에 인선 발표
‘작은 청와대’ 약속보다 6명 늘어
박 대통령 보름만에 인선 발표
‘작은 청와대’ 약속보다 6명 늘어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보름 만에 대통령비서실 비서관(1급) 40명의 인선을 마쳤다. 청와대는 12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통과돼야 ‘존재의 근거’가 생기는 국가안보실 소속 비서관 3명을 제외한 37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인 2월17일과 22일 각각 비서관 인선을 마치고 공식 발표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인선이 늦어지면서 내정자가 뒤바뀌고, 실세들 간의 암투설이 불거지는 등 잡음도 많았다.
청와대가 발표한 내용은 그동안 청와대 참모들이 일부 언론에 내정 사실을 비공식적으로 ‘흘리기’ 한 내용과 대체로 일치했다.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법무비서관에 임명된 이혜진 동아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다. 박 대통령과 별다른 인연이 없던 것으로 알려진 이 교수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법질서·사회안전분과 간사로 깜짝 발탁된 데 이어, 청와대까지 들어왔다. 애초 법무비서관에 변환철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내정됐으나 최근 갑자기 그만두면서 이 교수가 긴급 수혈됐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변 교수가) 비서관에 내정된 이후 언론에서 이런저런 보도가 나오는 데 대한 심적 부담을 느껴서 사의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홍보기획비서관엔 최형두 국무총리실 공보실장이 선택됐다. <문화일보> 논설위원 출신으로, 윤창중 대변인이 이 신문사 논설실장일 때 같이 근무했다. 최 실장 역시 일찌감치 내정됐던 이종원 전 <조선일보> 부국장이 그만두면서 발탁됐다. 여성가족부의 한 간부가 내정됐다가 철회된 여성가족비서관에는 정영순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인선됐다. 정 교수는 인수위 여성·문화 전문위원을 지냈다.
애초 인수위는 ‘작은 청와대’를 강조하며 비서관을 34명으로 줄이겠다고 밝혔지만, 박 대통령은 이보다 6명을 늘려 그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윤창중 대변인은 “그때는 제1·2 부속비서관을 카운트 안 했고(세지 않았고), 대변인도 1명 더 늘었다”고 말했지만, 정확한 이유는 설명하지 못했다. ‘인선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고 관보에만 게재하겠다’는 방침을 바꾼 것은, “비서관도 밀봉 인선”이라는 여당과 언론의 비판을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측근들 사이에 권력 암투설 등 인선을 둘러싼 잡음을 불식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비서관 인선에서도 ‘쓴 사람은 또 쓴다’는 박 대통령의 인사 특징과 고시 출신 선호 경향은 확인됐다. 박 대통령을 오랫동안 보좌해온 인물들은 박 대통령의 ‘의중’과 직결되는 비서실장 직속과 정무·민정·홍보수석실에 집중배치됐다. 16명에 이르는 고시 출신들은 대체로 경제·미래전략수석실 등 정책 분야에 인선됐다.
비서관 40명 가운데 여성은 모두 6명이다. 인수위가 국정과제로 선정한, ‘4급 이상 여성 공직자 비율 15%로 확대’ 방침을 지킨 셈이다. 출신 지역별로는 서울·경기가 12명으로 가장 많았고 △충청 7명 △영남 11명 △호남 6명 △강원 4명 순이었다. 출신 대학별로는 △서울대 12명 △고려대 5명 △연세대 4명 △한양대와 육군사관학교 각 3명 △한국외대·이화여대·경북대 각 2명 등이었다. 비서실장을 비롯한 수석비서관에 대거 발탁돼 ‘성시경’(성균관대·고시·경기고) 논란을 빚었던 성균관대 출신은 1명이었다. 비서관 평균 나이는 51.7살이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군종신부 뽑는데 “해군기지, 하느님 뜻이냐” 질문
■ 중국 언론 “MB, 전직 대통령의 저주에 걸렸다”
■ ‘개미’는 왜 항상 돈을 잃을까? 알고보니…잘못된 투자 때문
■ 시스티나 성당 굴뚝 ‘흰색-검은색’ 연기 어떻게 만들어질까
■ 나, 화면발 어때?…‘아기 모델’ 1만4000 대 1 경쟁률
■ 군종신부 뽑는데 “해군기지, 하느님 뜻이냐” 질문
■ 중국 언론 “MB, 전직 대통령의 저주에 걸렸다”
■ ‘개미’는 왜 항상 돈을 잃을까? 알고보니…잘못된 투자 때문
■ 시스티나 성당 굴뚝 ‘흰색-검은색’ 연기 어떻게 만들어질까
■ 나, 화면발 어때?…‘아기 모델’ 1만4000 대 1 경쟁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