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인사시스템 제대로 될까
인사위원장인 허태열 비서실장에
새누리의원들 “직무유기” 쓴소리
박 대통령 ‘밀봉·수첩 인사’ 고수땐
근본 변화 없어 철저 검증 어려워 고위직 7명 낙마라는 사상 초유의 인사 참사와 관련해 청와대가 ‘비서실장 대리사과’로 유감을 표명했지만, 인사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가동될 지는 여전히 물음표다. 청와대 인사위원장인 허태열 비서실장은 30일 오전 김행 대변인을 통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앞으로 인사 검증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인사 난맥상에 유감을 표했다. 허 실장은 오후에 열린 당·정·청 워크숍 인사말에선 “비서실이 제대로 대통령을 잘 보좌하고 있는가, 자문해 볼 때 여러 가지로 미흡한 점이 많았다는 것을 솔직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하지만 워크숍에 참석한 새누리당 의원들은 허태열 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비서진의 ‘직무유기’를 거론하며 쓴소리를 이어갔다. 친박계인 김재원 의원은 “인사 참사가 일어났는데 비서관들이 ‘인사 시스템이 안갖춰져있고 인력도 없어 어쩔 수 없었다’고 말한다. 이게 무슨 비서냐. 비서는 자기 책임이 아니어도 ‘내가 잘못했다’고 말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군현 의원은 “당에서는 날을 잡지 않으면 대통령을 만날 일이 없다. 총리 이하 정부와 대통령 비서실장 등은 매일 만나니, 국민들이 인사 걱정을 많이 한다고 건의를 좀 하라”고 말했다. 이에 허 실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따가운 질책, 공포스러운 질책을 듣고 통렬히 반성한다. 책임을 통감하며 정말 죄송하고 잘하겠다. 사람들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고 하지만 지금이라도 고칠 건 고쳐야 한다”면서 거듭 사과했다. 새누리당에서 부실검증에 따른 인책론이 제기된 곽상도 민정수석도 “다시는 실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인사 시스템을 정비하고 인력을 보강하겠다. 다시 한번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전날까지만 해도 “사과는 없다”던 청와대가 태도를 바꿔 몸을 낮춘 셈이다. 하지만 청와대의 인사 시스템 정비는 ‘지키지 못할 약속’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이 지금의 ‘밀봉·수첩 스타일’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 청와대가 내놓을 수 있는 카드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인사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비공개로 한다는 방침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 여러 청와대 인사들은 “청와대 차원의 인사는 이제 거의 끝났고, 여러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인사위원회를 공개하는 건 맞지 않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추천과 검증의 분리, 검증라인 다각화, 인사위에 외부인 영입 등 개선책 마련에도 부정적이다. 한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인사대상이 문제를 가리려고 하는 이상, 외부인 10명이 들어온들 검증이 제대로 되겠느냐”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젠 박근혜 정부 차원의 인사 존안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인사 대상이 될 만한 사람은 시간을 갖고 평판이나 소문 등을 검증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할 수 있는 좋은 인사 시스템이 있으면 벌써 그렇게 했지, 왜 우리가 일부러 욕을 먹겠느냐”고 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창조경제가 무슨 말이냐?” 여당은 버럭, 청와대는 버벅
■ 원주 별장 이미 다 알려졌는데…‘성접대 별장’ 때늦은 압수수색
■ 온난화 방치하면 세기말 평양이 제주도 된다
■ 도쿄 한복판 ‘반한시위 vs 우익반대시위’
■ [화보] 시원한 한방! 야구가 왔다~
새누리의원들 “직무유기” 쓴소리
박 대통령 ‘밀봉·수첩 인사’ 고수땐
근본 변화 없어 철저 검증 어려워 고위직 7명 낙마라는 사상 초유의 인사 참사와 관련해 청와대가 ‘비서실장 대리사과’로 유감을 표명했지만, 인사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가동될 지는 여전히 물음표다. 청와대 인사위원장인 허태열 비서실장은 30일 오전 김행 대변인을 통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앞으로 인사 검증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인사 난맥상에 유감을 표했다. 허 실장은 오후에 열린 당·정·청 워크숍 인사말에선 “비서실이 제대로 대통령을 잘 보좌하고 있는가, 자문해 볼 때 여러 가지로 미흡한 점이 많았다는 것을 솔직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하지만 워크숍에 참석한 새누리당 의원들은 허태열 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비서진의 ‘직무유기’를 거론하며 쓴소리를 이어갔다. 친박계인 김재원 의원은 “인사 참사가 일어났는데 비서관들이 ‘인사 시스템이 안갖춰져있고 인력도 없어 어쩔 수 없었다’고 말한다. 이게 무슨 비서냐. 비서는 자기 책임이 아니어도 ‘내가 잘못했다’고 말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군현 의원은 “당에서는 날을 잡지 않으면 대통령을 만날 일이 없다. 총리 이하 정부와 대통령 비서실장 등은 매일 만나니, 국민들이 인사 걱정을 많이 한다고 건의를 좀 하라”고 말했다. 이에 허 실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따가운 질책, 공포스러운 질책을 듣고 통렬히 반성한다. 책임을 통감하며 정말 죄송하고 잘하겠다. 사람들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고 하지만 지금이라도 고칠 건 고쳐야 한다”면서 거듭 사과했다. 새누리당에서 부실검증에 따른 인책론이 제기된 곽상도 민정수석도 “다시는 실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인사 시스템을 정비하고 인력을 보강하겠다. 다시 한번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전날까지만 해도 “사과는 없다”던 청와대가 태도를 바꿔 몸을 낮춘 셈이다. 하지만 청와대의 인사 시스템 정비는 ‘지키지 못할 약속’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이 지금의 ‘밀봉·수첩 스타일’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 청와대가 내놓을 수 있는 카드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인사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비공개로 한다는 방침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 여러 청와대 인사들은 “청와대 차원의 인사는 이제 거의 끝났고, 여러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인사위원회를 공개하는 건 맞지 않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추천과 검증의 분리, 검증라인 다각화, 인사위에 외부인 영입 등 개선책 마련에도 부정적이다. 한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인사대상이 문제를 가리려고 하는 이상, 외부인 10명이 들어온들 검증이 제대로 되겠느냐”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젠 박근혜 정부 차원의 인사 존안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인사 대상이 될 만한 사람은 시간을 갖고 평판이나 소문 등을 검증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할 수 있는 좋은 인사 시스템이 있으면 벌써 그렇게 했지, 왜 우리가 일부러 욕을 먹겠느냐”고 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창조경제가 무슨 말이냐?” 여당은 버럭, 청와대는 버벅
■ 원주 별장 이미 다 알려졌는데…‘성접대 별장’ 때늦은 압수수색
■ 온난화 방치하면 세기말 평양이 제주도 된다
■ 도쿄 한복판 ‘반한시위 vs 우익반대시위’
■ [화보] 시원한 한방! 야구가 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