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우울한 귀국 4박6일간의 미국 방문을 마친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 도착해 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서울공항/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부적절 여론에도 인사 강행 ‘참사’
일부 방미 성과마저 빛바래
여권서도 “충분히 예상됐던 일”
민주당 ‘국격추락 청문회’ 검토
일부 방미 성과마저 빛바래
여권서도 “충분히 예상됐던 일”
민주당 ‘국격추락 청문회’ 검토
첫 정상외교를 마치고 10일 귀국한 박근혜 대통령의 어깨가 축 늘어지게 생겼다. 성추행 혐의를 받는 윤창중 대변인을 해임했지만, 근본적인 책임은 ‘나홀로 오기 인사’를 고집했던 박 대통령에게 있다는 여론이 들끓는 탓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때부터 조각이 완료되기까지 석달가량 분출된 인사참사 논란이 재연되는 모양새다. 또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한 미국의 지지 등 나름의 방미 성과도 ‘윤창중 스캔들’에 묻혀버리는 형국이 됐다.
박 대통령 당선인 수석 대변인, 인수위 대변인을 잇달아 맡았던 윤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실질적인 ‘인사 1호’로 불렸다. 여야 모두 윤 대변인의 막말 칼럼과 독설 방송 때문에 인수위 대변인으로 부적절하다고 지적했지만, 박 대통령은 아랑곳하지 않고 새 정부 초대 청와대 대변인으로까지 기용했다.
이렇게 총애를 받아 고위 공직자가 된 윤 대변인은, 이번 방미 일정의 하이라이트였던 한-미 정상회담 당일 밤 여성 지원요원을 성추행한 혐의로 해임돼 박근혜 정부 인사참사의 ‘화룡점정’이 됐다. 윤 대변인은 <문화일보> 논설위원 때인 2006년 4월25일 참여정부 청와대 대변인들을 비난하면서 “(대변인은) 대통령의 말을 단순히 옮기는 입이 아니라, 대통령과 정권의 수준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얼굴이고, 분신”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야당은 박 대통령의 직접 사과를 요구하는 등 날을 세웠다. 박기춘 민주당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불통·밀봉 인사에 따른 예고된 참사의 완결판이다.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 핵심 당직자는 “야당의 반대에도 윤 대변인 임명을 강행해 대형폭탄을 껴안더니 결국 터졌다. 대통령의 자업자득”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윤창중 성추행 및 국격추락 청문회’ 추진도 검토하고 있다.
여권도 부글부글 끓었다. 한 여권 인사는 “충분히 예상됐던 일이다. 대선 때도 사석에서나 할 저질스런 얘기를 종편에 나와 그대로 했고, 인수위 때도 불통 논란만 키워 경질해야 된다는 건의가 얼마나 많았나. 그런데도 청와대 대변인으로 임명한 건 박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윤 대변인의 부적절한 행동은 국가의 품위를 크게 손상시킨 행위”(민현주 대변인)라며 진상 파악을 요구했다.
여권에선 박 대통령의 방미 성과가 빛이 바래게 됐다는 우려가 크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국익을 위해 일하고 왔는데, 불의의 사태가 벌어져 허탈하기 짝이 없다”고 했다. 신의진 새누리당 원내대변인도 “석고대죄해야 할 국가적 망신”이라면서도, “개인의 부적절한 처신 때문에 대통령의 방미 성과가 가려져선 안 된다”고 말했다.
조혜정 송호진 기자 zesty@hani.co.kr
이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