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테이블 왼쪽 줄 가운데)이 26일 청와대에서 중앙언론사 편집·보도국장 오찬간담회를 시작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 대통령, 언론인 간담회
야당과 협치 방안
야당과 협치 방안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3년 만에 열린 언론사 간부들과의 만남에서 국회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며, 대통령으로서의 ‘무력감’을 호소했다. 집권여당의 4·13 총선 참패의 주요 원인이 박 대통령의 일방적 국정운영 방식에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지만, 박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며 이번 총선 결과가 ‘대통령 발목 잡은 양당 체제’에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8일 “이번 선거의 결과는 국민의 민의가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며 “민의를 겸허히 받들”겠다고 강조했지만, 실상은 총선 전의 ‘국회심판론’에서 한 치도 나아가지 못한 정국 인식을 드러냈다.
국정운영 잘못 ‘야당 탓’
“대통령이 할수 있는게 없다
야당 만나서 협조 구해도
아무 변함이 없고…” 당청관계 개선 의지 실종 “여소야대보다 더 힘든 건
여당과 정부가 따로 가는 것” ■ 총선 결과는 ‘식물국회’ 탓 박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에서 파견 분야 확대를 뼈대로 한 파견법 개정안을 중장년층의 ‘일자리 창출법’이라 강조하며, 이를 거부하고 있는 야당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파견법 통과를) 어떻게든지 해보려고 했는데 거의 안 됐다. 그냥 혼자 가만히 있으면 너무 기가 막혀 갖고 마음이 아프고 내가 좀 국민들 더 만족스러운 삶을 마련해주기 위해서 내가 대통령까지 하려고 했고, 열심히 밤잠 안 자고 이렇게 고민해서 왔는데 대통령 돼도 뭐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또 박 대통령은 “나중에 임기를 마치면 저도 엄청난 한이 남을 것 같다”며 “대통령이 그렇게 애원하고 몇년 동안 호소하고 하면 ‘그래 해봐라, 그리고 책임져봐라’ 이렇게 할 수도 있는 것 아닐까요”라고 호소했다. 박 대통령의 이런 불만은 이번 총선 참패의 원인을 ‘식물국회’에서 찾는 것으로 이어졌다. 박 대통령은 자신이 요구해온 이른바 ‘경제활성화법’의 국회 처리가 지연돼, “국민들 입장에서 변화와 개혁이 있어야겠다는 생각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지난해 말부터 이어온 국회심판론의 연장인 셈이다. 박 대통령은 “20대 국회에서 국민들이 바라는 가장 중요한 것은 민생 살리고 일자리 만들고, 그렇게 우리 삶이 좀 나아지게 해달라는 게 주된 캠페인이었다”며 “저도 민의를 받드는 데 있어서 민생 살리는 데에 집중을 하고 그 부분에 있어 국회와 계속 협력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야당 협치’보다 ‘내부 단속’ 강조 박 대통령은 여소야대 국회에서 야당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선 3당 대표 회동 정례화 등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여·야·정 협의체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체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를 하고 정부와 소통해가면서 일을 풀어가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저는 (야당을) 만날 의향이 있는데 만나도 평행선으로 쭉 간다”며 야당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박 대통령은 “(야당 지도부를) 청와대에서 초청해서 만나면 ‘그것 좀 꼭 해주세요’ 하고 나면 아무 변함이 없고, 원내대표 바뀌고 또 만나 얘기하면 또 안 되는 거다”라며 ‘야당의 비협조’를 탓했다. 박 대통령은 대타협을 위한 야당과의 연정 의향에 대해서도 거부 뜻을 밝히며, 오히려 여당 ‘내부 단속’을 더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당-청 관계를 수레바퀴에 빗대어 “여당과 정부가 서로 협의해가면서 같이 굴러가야 국정운영이 원활히 되는데, 내부에서 그게 안 맞아서 삐거덕거리고 이 바퀴는 이리 가는데 이 바퀴는 저리 가려고 그러면 아무것도 안 된다”며, 자신을 비판하는 당내 비박계에 불만을 드러냈다. ■ 국회선진화법 개정, 한발 물러서 다만 박 대통령은 국회선진화법 개정 필요성에 대해선 “법보다 중요한 것은 법을 운용하는 사람의 마음”이라며 한발 물러섰다. 박 대통령은 지난 1월13일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 당시 “좋은 취지를 충분히 살려도 모자랄 판에 오히려 정쟁을 더 가중시키고, 국회 입법 기능마저 마비를 시키고 있다”며 쟁점법안 직권상정 처리가 가능하도록 국회선진화법 개정을 추진 중인 여당에 힘을 실은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총선 참패로 국회선진화법 개정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19대 이전 국회는) 국민들이 제발 좀 싸우지 마라, 그런 얘기를 많이 들었다. 그러니깐 한마디로 유머스럽게 ‘동물국회’였다”며 “그런데 19대는 이것도 저것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식물국회가 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국민의 입장에서 동물국회 아니면 식물국회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것은 난감하다”며 “국민에게 둘 중 하나를 강요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고, 이 법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 법을 운용하는 사람의 마음”이라고 말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박 대통령, 보도·편집국장 간담회 관련기사
▶“총선 결과는 국회심판” 대통령만 모르는 민심
▶“한국판 양적완화 추진” 첫 언급
▶“파견법 일석사조…구조조정 실업자에 빠른 일자리”
▶“세월호특조위 활동 보장, 돈 들어가니 국회가 판단을”
▶박 대통령과 130분 오찬…‘총선 민심’ 모르고 있었다
▶“내가 친박 만든 적 없다” 유승민 조기복당은 반대
▶한은 돈 찍어 구조조정 위한 ‘양적 완화’…현실화 미지수
▶“북 핵실험 강행땐 제재·압박 외 다른 길 없어”
▶김영란법에 “이대로 되면 경제위축 우려”
▶박 대통령, 국정 19가지 이슈에 대한 인식
야당 만나서 협조 구해도
아무 변함이 없고…” 당청관계 개선 의지 실종 “여소야대보다 더 힘든 건
여당과 정부가 따로 가는 것” ■ 총선 결과는 ‘식물국회’ 탓 박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에서 파견 분야 확대를 뼈대로 한 파견법 개정안을 중장년층의 ‘일자리 창출법’이라 강조하며, 이를 거부하고 있는 야당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파견법 통과를) 어떻게든지 해보려고 했는데 거의 안 됐다. 그냥 혼자 가만히 있으면 너무 기가 막혀 갖고 마음이 아프고 내가 좀 국민들 더 만족스러운 삶을 마련해주기 위해서 내가 대통령까지 하려고 했고, 열심히 밤잠 안 자고 이렇게 고민해서 왔는데 대통령 돼도 뭐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또 박 대통령은 “나중에 임기를 마치면 저도 엄청난 한이 남을 것 같다”며 “대통령이 그렇게 애원하고 몇년 동안 호소하고 하면 ‘그래 해봐라, 그리고 책임져봐라’ 이렇게 할 수도 있는 것 아닐까요”라고 호소했다. 박 대통령의 이런 불만은 이번 총선 참패의 원인을 ‘식물국회’에서 찾는 것으로 이어졌다. 박 대통령은 자신이 요구해온 이른바 ‘경제활성화법’의 국회 처리가 지연돼, “국민들 입장에서 변화와 개혁이 있어야겠다는 생각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지난해 말부터 이어온 국회심판론의 연장인 셈이다. 박 대통령은 “20대 국회에서 국민들이 바라는 가장 중요한 것은 민생 살리고 일자리 만들고, 그렇게 우리 삶이 좀 나아지게 해달라는 게 주된 캠페인이었다”며 “저도 민의를 받드는 데 있어서 민생 살리는 데에 집중을 하고 그 부분에 있어 국회와 계속 협력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야당 협치’보다 ‘내부 단속’ 강조 박 대통령은 여소야대 국회에서 야당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선 3당 대표 회동 정례화 등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여·야·정 협의체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체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를 하고 정부와 소통해가면서 일을 풀어가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저는 (야당을) 만날 의향이 있는데 만나도 평행선으로 쭉 간다”며 야당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박 대통령은 “(야당 지도부를) 청와대에서 초청해서 만나면 ‘그것 좀 꼭 해주세요’ 하고 나면 아무 변함이 없고, 원내대표 바뀌고 또 만나 얘기하면 또 안 되는 거다”라며 ‘야당의 비협조’를 탓했다. 박 대통령은 대타협을 위한 야당과의 연정 의향에 대해서도 거부 뜻을 밝히며, 오히려 여당 ‘내부 단속’을 더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당-청 관계를 수레바퀴에 빗대어 “여당과 정부가 서로 협의해가면서 같이 굴러가야 국정운영이 원활히 되는데, 내부에서 그게 안 맞아서 삐거덕거리고 이 바퀴는 이리 가는데 이 바퀴는 저리 가려고 그러면 아무것도 안 된다”며, 자신을 비판하는 당내 비박계에 불만을 드러냈다. ■ 국회선진화법 개정, 한발 물러서 다만 박 대통령은 국회선진화법 개정 필요성에 대해선 “법보다 중요한 것은 법을 운용하는 사람의 마음”이라며 한발 물러섰다. 박 대통령은 지난 1월13일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 당시 “좋은 취지를 충분히 살려도 모자랄 판에 오히려 정쟁을 더 가중시키고, 국회 입법 기능마저 마비를 시키고 있다”며 쟁점법안 직권상정 처리가 가능하도록 국회선진화법 개정을 추진 중인 여당에 힘을 실은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총선 참패로 국회선진화법 개정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19대 이전 국회는) 국민들이 제발 좀 싸우지 마라, 그런 얘기를 많이 들었다. 그러니깐 한마디로 유머스럽게 ‘동물국회’였다”며 “그런데 19대는 이것도 저것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식물국회가 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국민의 입장에서 동물국회 아니면 식물국회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것은 난감하다”며 “국민에게 둘 중 하나를 강요할 수는 없다고 생각하고, 이 법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 법을 운용하는 사람의 마음”이라고 말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박 대통령, 보도·편집국장 간담회 관련기사
▶“총선 결과는 국회심판” 대통령만 모르는 민심
▶“한국판 양적완화 추진” 첫 언급
▶“파견법 일석사조…구조조정 실업자에 빠른 일자리”
▶“세월호특조위 활동 보장, 돈 들어가니 국회가 판단을”
▶박 대통령과 130분 오찬…‘총선 민심’ 모르고 있었다
▶“내가 친박 만든 적 없다” 유승민 조기복당은 반대
▶한은 돈 찍어 구조조정 위한 ‘양적 완화’…현실화 미지수
▶“북 핵실험 강행땐 제재·압박 외 다른 길 없어”
▶김영란법에 “이대로 되면 경제위축 우려”
▶박 대통령, 국정 19가지 이슈에 대한 인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