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파행 장기화되면 대통령에도 부담
우병우·미르재단 등 현안 쟁점화는 우려
우병우·미르재단 등 현안 쟁점화는 우려
청와대는 3일 ‘국정감사 정상화’에 대해 공식 입장은 내지 않았다. 그동안 국회 파행사태에 대해 ‘국회에서 풀어야 할 일’이라는 견해를 내놓았던 만큼, 청와대가 전면에 등장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국회 파행이 장기화될 경우,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박 대통령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프리존 지정·운영 특별법’(규제프리존특별법)과 노동 관련 4개 법안 통과, 내년 예산안 심사 등이 모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우려해왔다. 김재원 정무수석이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단식 중단을 요청하는 등 ‘실무적’ 해법을 모색해온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회 정상화를 계기로, 원활한 국정이 이뤄지도록 여야간 활발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와대 안에서는 이번 국감에서 미르·케이(K)스포츠 재단 개입, 최순실씨 비선실세 논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거취 등과 관련해 야당의 공세를 우려하는 분위기도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이를 “난무하는 비방과 확인되지 않는 폭로”라고 규정한 상황이어서, 야당의 의혹 제기에 대해선 ‘근거없는 정치공세’라는 단호한 입장으로 대응해갈 것으로 전해졌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