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과제 보고대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맞는 17일 기자회견을 연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인사 발표를 위해 기자들 앞에 선 적 있으나, 여러 현안을 놓고 공식 기자회견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회견에서는 청와대를 출입하는 내·외신 기자 300여명이 참석해 사전 조율 없이 문 대통령에게 다양한 현안에 대해 문답을 주고 받을 예정이다. 청와대 경내 영빈관에서 오전 11시부터 한 시간 가량 텔레비전 생중계로 진행된다.
문 대통령의 이번 기자회견은 청와대 기자회견장인 춘추관이 아닌 영빈관에서 열린다. 영빈관(迎賓館)은 외부 손님을 맞아 공식모임을 열거나 대규모 회의를 하는 공간이다. 청와대는 출입기자로 등록한 기자단 전체를 상대로 참가 신청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내·외신 기자 300여명이 한꺼번에 기자회견에 참여할 예정이다. 질문권을 얻기 위해 수십개의 손이 동시에 올라가는 장면이 펼쳐질 수도 있다. 미리 정해둔 ‘각본’이 없는 회견이라는 점도 큰 특징이다. 질문을 정하거나 순번에 따라 혹은 추첨으로 질문자를 사전에 정하는 게 그동안 관례였는데 이번엔 사전 조율도 거치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100일 맞이’ 첫 기자회견을 준비하는 청와대의 실무 부서(국민소통수석실)도, 기자들도 이번 회견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예상하지 못하고 있다. 생동감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있는 반면, 한정된 시간 동안 효율적으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을지 우려하는 분위기도 있다.
기자들의 질문은 북한의 잇단 핵·미사일 시험에 따른 한반도 위기 해결방안을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8·2 부동산 대책, 초고소득 증세, 탈원전 정책 등 다양한 경제·사회 현안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별도로, 청와대는 문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누리집을 ‘국민소통플랫폼’으로 개편해 국민과의 ‘직접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이라는 단어를 ‘국민의 소리를 귀기울여 듣고 공감하고 응답하는 사람, 대한민국과 크게 통하는 사람’으로 스스로 규정해 실천하겠다는 취지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의 브리핑이나 정책 발표 등을 국민의 눈높이에서 전달할 계획”이라며 “‘청와대 온에어’라는 이름으로 동영상 서비스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민소통플랫폼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질문이나 청원이 있을 경우 문재인 정부의 책임 있는 인사들이 직접 나서 이에 답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도 계획중”이라고 말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