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후 국방부에서 열린 합참의장 이·취임식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북한 핵과 미사일에 대한 대응 전력과 자주국방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통령이 행사할 수 있는 책임과 권한을 다하겠다”며 “3축 체계(킬체인·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대량응징보복체계)를 조기 구축할 것이며 전시작전권 환수를 준비하는 군의 노력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국방부에서 열린 합참의장 이·취임식에 참석해 축사를 통해 “강한 군대를 만들라는 국방개혁은 더 지체할 수 없는 국민의 명령”이라며 “정경두 신임 합참의장을 중심으로 전 군이 하나가 돼 정부의 국정목표인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실현하고 싸워 이길 수 있는 강한 군을 만드는 데 진력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국방개혁의 3대 목표로 △싸워서 이기는 군대 △지휘관부터 사병까지 애국심과 사기가 충만한 군대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군대로 거듭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군 통수권자로서 국방개혁을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직 대통령이 합참의장 이·취임식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된 상황에서 국방개혁 의지를 강조하고 군의 사기를 돋우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나는 지금 대한민국 대통령이자 ‘육군 병장 출신의 국군통수권자’로서 이 자리에 서 있다”며 “그 사실을 매우 뜻깊게 여기면서 우리 60만 국군장병 모두에게 든든한 힘이 되고 자부심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함께 “지난 18일 자주포 사격훈련 중 사고로 희생된 장병들과 유가족들께 깊은 애도를 표한다”며 “나라를 위해 복무하다 훈련 중 순직하고 다친 장병들은 우리들의 진정한 영웅이다. 이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합당한 예우와 보상, 부상 장병들의 치료와 철저한 사고원인 규명 등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군과 국민은 떨어져 있지 않다. 군과 국민을 연결하는 것은 임무와 사명만이 아니다”라며 “우리 군 장병 한 사람 한 사람은 모두 우리 국민 누군가의 귀한 아들딸”이라고 말했다. 또 “국가와 국민을 위한 군의 충선과 헌신에는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제도와 문화를 만들어갈 것”이라며 “거듭 강조하지만, 군이 앞장서서 노력해야 한다. 군이 국방개혁의 주체가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다음은 문재인 대통령의 합참의장 이·취임식 축사 전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