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도발 후속대책에 집중
위안부 피해자 논의 못한듯
위안부 피해자 논의 못한듯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7일 정상회담을 하고, 대북 원유공급 중단을 포함한 강력한 대북제재가 담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또 한-미-일의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중국과 러시아가 강력한 대북 제재에 동참할 수 있도록 설득하기로 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한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회담을 열어 “한-일 관계 발전 방향과 북핵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며 이같이 합의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이 더 악화돼 통제 불능의 상황에 빠져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국이 국제사회와 협력하면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반드시 포기하도록 제재와 압박을 최대한으로 가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평화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자”고 말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지난번 유엔 안보리 결의 시 북한이 추가도발을 할 경우 새 결의안을 채택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기 때문에 더 강력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중국과 러시아를 설득해 나가겠다”고 답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일본 정부는 아베 총리가 “(북한 6차) 핵실험 이후 가속화하고 있는 국제사회 전체의 대북 압력 강화의 흐름을 최대한 활용해서,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압력을 가하는 대응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일-한-미 3개국이 안전보장 및 방위협력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한-일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서는 “두 정상이 각자의 입장을 설명하고 과거사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미래지향적 성숙한 동반자 관계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윤영찬 수석은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등 역사문제 해결과 관련해 “일부 언급이 있었으나 그런 문제에 발목이 잡히지 않도록 양국이 보다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현안들을 관리하고 안정적으로 이슈를 끌고 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강제징용 문제는 1965년 일-한 청구권·경제협력협정에 의해서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고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블라디보스토크/김보협 기자, 도쿄/조기원 특파원 bhkim@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정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