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부산국제영화제를 방문해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를 관람한 뒤 관객들과 손을 잡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정부는 부산국제영화제의 과거 위상을 되살리겠다”며 “초기 영화제 원칙대로 지원을 최대한 하되 간섭은 하지 않고 영화제 운영을 전적으로 영화인들의 자율과 독립에 맡기겠다”고 약속했다.
부산국제영화제 현장을 찾은 문 대통령은 영화 전공 학생 및 영화제 관계자들과의 오찬 간담회 등에서 “부산시민과 국민들의 자랑스러운 영화제이자 세계 5대 영화제, 아시아 대표 영화제이기도 한 부산국제영화제가 그동안 정치적 이유로 위상이 추락했다고 해서 아주 가슴이 아팠다”며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은 “(과거에는) 영화제 자체를 영화인들에게 맡겨 독립적,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했기 때문에 영화인들이 갖고 있는 저력을 100% 발휘할 수 있었으나, 이후 몇년간 부산영화제를 ‘좌파영화제다’ 이런 식으로 정치적으로 다루고 영화제 지원을 빌미로 정부와 부산시가 정치적으로 간섭했다”며 “영화 <다이빙벨> 상영을 계기로는 아예 영화제 자체가 블랙리스트에 올라 국고지원금이 반토막 나는 상황이 되면서 영화제가 위축됐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2014년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의 상영 문제를 놓고 부산시와 영화계의 갈등이 지속되면서 이 영화제는 운영 파행이 빚어지고 관람객 수도 급감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많은 영화인이 부산영화제가 정치적으로 돼버린 것에 대한 불만이 있어 외면하고 지금도 참여하지 않는 분도 있는데, 정부의 의지를 믿고 남은 기간이라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영화제를 살려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부산국제영화제는 올해로 22년째를 맞는데, 현직 대통령이 직접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국 사회의 여성 문제와 갑질 문화, 외국인 노동자 문제 등을 다룬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를 관람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영화가 끝난 뒤 관객과의 대화에서 “‘사라진 여자’라는 제목도 아주 이중적인 뜻이 있다고 느꼈는데, 실제적으론 (극중 배역인) 한매가 사라진 것인데, 의미적으로는 우리 사회에서 ‘여성들이 아주 소외되고 있다’, ‘여성들의 목소리가 사라졌다’ 이런 의미도 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