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대통령실

“국민” 70번 언급한 문대통령 연설, 다음은 ‘우리’ ‘경제’

등록 2017-11-01 15:35수정 2017-11-02 16:21

시정연설 단어 빈도 분석
키워드 ’사람중심 경제’와 ‘예산’
사회 전반의 적폐청산도 강조
문재인 대통령 ‘2018년도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문 빈도분석 워드클라우드.   그래픽 이재호 기자
문재인 대통령 ‘2018년도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문 빈도분석 워드클라우드. 그래픽 이재호 기자
“정확히 20년 전입니다. 그것은 어느 날 불쑥 날아든 해고통지였고, 가장의 실직이었으며, 구조조정과 실업의 공포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일 오전 ‘2018년도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에서 아이엠에프(IMF) 외환 위기 이야기로 운을 뗐다. 대통령은 “외환위기는 우리 국민 모두에게 그때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큰 충격을 주었다”며 “경제적 충격만이 아니라, 심리적·정서적 충격이 국민의 삶 전체를 뒤흔들었다”고 회상했다.

문 대통령이 연설의 도입부에서 국민 모두에게 아픈 기억인 아이엠에프를 언급한 것은 몰입력을 높이고, 예산안 통과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오바마처럼’ 문 대통령 페북의 진화…구체적 사례 조곤조곤 말하기

<한겨레>는 문 대통령이 이날 시정연설문에서 사용한 단어를 분석해 빈도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표현하는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 방식으로 시각화했다. 분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 ‘R’을 활용했고, 한국어 형태소 분석 패키지(KoNLP)를 썼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예산안 국회 본회의 상정에 따른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예산안 국회 본회의 상정에 따른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핵심 키워드는 ’사람중심 경제’였다.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경제’를 39번 언급해 ‘국민’(70번), ‘우리’(42번) 다음으로 많이 언급했다. 국가혁신의 첫번째 기반으로 ‘사람중심 경제’를 강조하기 위해 성장(17번), 일자리(13번), 혁신(13번), 소득(12번), 중소기업(9번), 기회(8번), 창업(8번), 가계(5번), 고용(5번), 희망(5번) 등을 사용했다. 그는 “사람중심 경제는 결코 수사가 아니다”며 “경제 성장의 과실이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게 하는 경제이자 일자리와 늘어난 가계 소득이 내수를 이끌어 성장하는 경제, 혁신창업과 새로운 산업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경제”라고 설명했다.

예산안 시정연설인 만큼 ‘예산’(27번)과 관련된 단어도 많이 언급됐다. ‘지원’(27번), ‘확대’(19번), ‘사업’(8번), ‘인상’(8번), ‘공공’(6번), ‘수당’(6번), ‘강화’(5번), ‘반영’(5번), ‘편성’(5번) 등의 단어를 활용했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모든 책임을 스스로 짊어져야했던 국민들에게 이제는 국가가 국민의 삶을 책임지겠다고 나서야한다”며 “일자리와 가계소득 증대, 혁신성장, 국민안전과 안보에 중점을 두었다”고 예산안을 설명했다. 이어 “이번 예산은 당면한 우리 경제·사회 구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의 산물”이라고 강조하며 국회의 협조를 촉구했다.

‘한반도’(13번)의 엄중한 ‘안보’(6번) 상황에 대한 언급도 빼놓지 않았다. 대통령은 안전(11번), 평화(7번), 북한(4번), 국방(3번), 북핵(2번), 위협(2번) 등의 키워드를 사용하며 △한반도 평화 정착과 한국의 사전동의 없는 군사행동 불용납 △한반도 비핵화 △남북 문제 주도적 해결 △북핵 문제 평화적 해결 △북한 도발에 대한 한반도 5대 원칙을 제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내년도 예산안의 국회 본회의 상정에 따른 시정연설을 한 뒤 국회를 나서고 있다.  한겨레 강창광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내년도 예산안의 국회 본회의 상정에 따른 시정연설을 한 뒤 국회를 나서고 있다. 한겨레 강창광 기자
문 대통령은 ‘검찰’(2번)과 ‘국정원’(2번)에 대해 국민의 기관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국정원에 대해서는 “국내정치와 절연하고 대북 정보에만 전념하도록 개혁하겠다”고 다짐했고, 검찰에 대해서는 “검찰의 변화를 요구하는 국민의 뜻이 하늘처럼 무겁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법안은 이런 국민들의 여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논란이 된 ‘공공기관’(13번) ‘채용’(5번)비리에 대해서는 “공공기관의 전반적 채용비리 실태를 철저히 규명해 부정 행위자는 물론 청탁자에게도 엄중한 책임을 묻는 시스템을 갖추겠다”고 밝혔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이뤄지고 있는 ‘적폐청산’(1번)을 강조한 것이다.

연설 마지막 부분에서는 ‘개헌’(9번)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국회가 개헌논의를 계속해 줄 것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개헌은 국민의 뜻을 받드는 일”이라며 “개헌은 내용에 있어서도, 과정에 있어서도 국민의 참여와 의사가 반영되는 국민개헌이어야한다”고 밝혔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정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