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7일 낮 청와대에서 여야 5당 대표와 오찬 회동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의당 이정미 대표, 바른미래당 유승민 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문 대통령,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 청와대사진기자단
7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의 오찬에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조배숙 민주평화당 대표·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북한의 비핵화 프로세스와 4월 남북정상회담을 두고 “항구적 평화 체제”에 방점을 찍으며 “초당적 안보협력이 필요하다”는데 입을 모았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오찬 머리발언에서 “4월말 남북정상회담을 하게 되면 항구적 평화체제로 갈 수 있는 토대를 차곡차곡 쌓아나갈 수 있다”며 “대통령 임기 1년도 지나지 않은 4월에 정상회담을 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살려 나가야 할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홍 대표가 북한의 의도에 속지 말아야 한다는 경계의 말씀 주신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북한 의도를 알아내기 위해서라도 대화는 필요하다”며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가) 한미동맹 균열은 안 된다고 말했는데 그에 대한 오해는 불식해도 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발언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북한에 속아선 안 된다”고,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가 “북한의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고 밝힌 것에 대한 발언이다.
조배숙 민주평화당 대표와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초당적 안보협력을 강조하며 추미애 대표 발언에 힘을 실었다. 또 안보 현안과 관련해 국회와의 소통도 강조했다. 조배숙 대표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남북정상회담과 북미회담의 성과를 위해서는 대통령과 정부 힘만으로는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국론을 한데 모아야만 힘 있게 추진할 수 있고 여야를 넘어서 초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사전에 대통령께서 미리 초청해 주시고 미리 논의가 되고, 국정의 파트너로서 역할을 한다면 앞으로도 협치가 원활하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미 대표는 “한반도가 새로운 국면으로 가고 있지 않나. 평창이라는 십 며칠 동안의 짧은 평화 임시 기간을 이제는 항구적인 평화체제로 전환시켜야 되는 그런 길로 들어섰다고 생각한다”며 “여야정 협의체 수준에서의 협치 기구가 꼭 있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