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대북 특사단 방북을 하루 앞둔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긴장 완화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 개최 준비와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달성하는 방안 등을 협의하려고 대북 특사단을 파견할 계획”이라며 “지금이 한반도 평화 정착에 중대한 시점이며, 이는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트럼프 대통령은 “특사단이 좋은 성과를 거두길 진심으로 바란다”며 “9월 남북 정상회담이 남북 관계 개선은 물론, 6·12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합의사항 이행과 향후 대화 등을 위해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답했다. 두 정상은 9월 하순 유엔 총회 때 직접 만나 한반도 문제 관련 전략과 협력 방안을 협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날 통화는 밤 9시부터 50분 동안 이어졌다. 두 정상의 통화는 6월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당일 이후 두달 반여 만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오후 특사단 전원을 포함한 외교·안보 장관 회의를 열어 특사단 임무를 최종 점검했다.
수석 대북특사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특사단은 방북을 통해 북쪽과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 문제를 협의할 예정”이라며 △9월 중 평양에서 열기로 합의한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일정과 의제 △4·27 판문점 선언 이행을 통한 남북관계 발전 방안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 달성 방안 등이 특사단이 논의할 안건이라고 밝혔다. 정 실장은 “문 대통령의 친서를 가지고 간다”고 말했다. 특사단은 5일 아침 특별기편으로 서해직항로로 방북한 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 북쪽 지도부와 면담한 뒤 이날 저녁 돌아온다. 김보협 성연철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