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국가안보 실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북 특사단이 5일 오전 성남공항을 통해 당일치기 방북길에 올랐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남북이 오는 18일부터 2박3일 일정으로 평양에서 열리는 3차 남북정상회담의 방북 대표단 규모를 200명으로 합의해 대표단 구성에 관심이 모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0일 기자들과 만나 “대북 특사단 방북 과정에서 평양 남북정상회담 수행단 규모를 200명으로 합의했다”며 “너무 많아지면 북쪽이 실무적인 부담도 있어 적정 규모로 얘기한 게 200명이었다”고 말했다.
이번 방북 대표단 규모는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 때와 비슷하지만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 때와 견줘 100명 정도 줄었다. 경호·의전 등 정상회담 실무진이 100명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대표단에 참여하는 각계 인사와 취재진 규모가 각각 50명 안팎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07년보다 대표단 규모가 줄어든 탓에 청와대도 대표단 구성에 고심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경제분야는 물론 대통령 자문단이나 사회 원로, 종교 분야 (포함) 등을 다 고민해야 한다”며 “방문단 규모에 제약이 있어 어떤 분들을 모셔야 할지 머리 아프게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방북 대표단 사례를 비춰보면, 이번에도 문 대통령 공식 수행원 외에 정치권과 경제계, 업종별 대표, 종교계, 문화·예술·학계, 사회단체·언론계, 여성계 등 7개 분야에서 50명 안팎이 선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회담 준비위가 구성한 ‘남북정상회담 원로·전문가 자문단’ 46명 가운데 평양 방문 경험이 있는 이들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내년 남북 공동행사를 염두에 두고 대통령 직속기구로 만든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에서 민간위원장을 맡은 한완상 전 통일부총리를 포함해 한반도평화포럼의 임동원 명예이사장과 정세현 이사장,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김연철 통일연구원 원장 등이 방북 대표단 대상자로 거론된다. 종교계에서는 각 종단의 대표급 인사들이, 경제계에서는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대북사업과 인연이 깊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 등이 주요 검토 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대통령 직속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수석 부의장 김덕룡)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대표 상임의장 김홍걸), 대한적십자사(회장 박경서) 쪽 인사들도 후보군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