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서해 상에 공동 인공강우 실시 방안 추진”
“한-중 공동 미세먼지 예보시스템 마련”
“추경 긴급 편성하고, 30년 이상 노후 석탄 화력발전 조기 폐쇄”
“한-중 공동 미세먼지 예보시스템 마련”
“추경 긴급 편성하고, 30년 이상 노후 석탄 화력발전 조기 폐쇄”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해 긴급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문 대통령이 미세먼지 고농도 시 한-중이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동시에 공동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협의하라고 지시했다”며 “아울러 중국과 인공강우 기술협력을 하기로 한-중 환경 장관회의에서 이미 합의했고, 인공강우에 대한 중국 쪽의 기술력이 훨씬 앞선 만큼 서해 상공에서 중국과 공동으로 인공강우를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특히 중국 쪽에서는 우리 먼지가 중국 상하이 쪽으로 간다고 주장하는데 서해 상공에서 인공강우를 하면 중국 쪽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이 함께 미세먼지 예보시스템을 만들어 공동대응하는 방안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필요하다면 추경(추가경정예산)을 긴급 편성해서라도 미세먼지 줄이는 데 역량을 집중하라”며 “현재 30년 이상 노후화된 석탄 화력발전소는 조기에 폐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조명래 환경부 장관에게 “비상한 시기에는 비상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정부의 책무”라며 특단의 미세먼지 대책을 주문했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6일 오후부터 자체보유 업무용 차량 운행 및 직원들의 출퇴근 때 개인 차량 이용을 전면금지하는 등 미세먼지 자체 대책 시행에 들어갔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미세먼지로 국민께서 피해와 고통을 겪고 있는 마당에 청와대가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이렇게 지시했다. 청와대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기간 동안 보유 업무용 차량 51대 가운데 전기차 6대와 수소차 1대만 운행하고, 직원들도 같은 기간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근하기로 했다.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시에도 직원 차량 2부제를 시행한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사진기자단
이슈미세먼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