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제8기 제2차 정치국 확대회의가 지난 29일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김정은 총비서는 책임 간부들이 비상방역 사업에 태만해 '국가와 인민의 안전에 위기를 조성하는 중대 사건'이 발생했다며 질타했다. 이어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과 정치국 위원, 후보위원을 소환·보선했으며 당 중앙위원회 비서도 소환·선거했다. 회의를 주재하는 김 총비서가 설명을 강조하듯 오른손 검지손가락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는 “국가비상방역전 장기화 요구”에 대응한 “당의 중요 결정 집행을 태공(태업)함으로써 국가와 인민의 안전에 커다란 위기를 조성하는 중대사건을 발생”시킨 “일부 책임간부들의 직무태만 행위”를 지적하고 교체 인사를 단행했다고 30일 <노동신문>이 1·2면에 펼쳐 보도했다. <노동신문>은 “중대사건”과 “직무태만”이 코로나19 방역과 직결된 문제인지, “인민생활 안정”과 ”경제 건설” 관련 사안인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김정은 총비서는 29일 당중앙위 본부청사에서 열린 노동당 중앙위 8기2차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중대 과업 관철에 제동을 걸고 방해를 노는 중요 인자는 간부들의 무능과 무책임성”이라며 “간부 대열의 현 실태에 경종을 울리며 전당적인 집중투쟁, 연속투쟁의 서막을 열자는 데 회의의 진(핵심)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김 총비서는 “일하는 흉내만 낼뿐 진심으로 나라와 인민을 걱정하지 않고 자리 지킴이나 하는 간부들을 감싸줄 권리가 절대로 없다”며 “지금이야말로 첨예하게 제기되는 경제문제를 풀기 전에 간부혁명을 일으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회의에서 “당 중앙위 정치국 상무위원, 정치국 위원·후보위원들을 소환 및 보선하고 당중앙위 비서를 소환 및 선거했으며 국가기관 간부들을 조동 및 임명했다”고 <노동신문>은 전했다. 당 수뇌부인 상무위원을 포함한 당 핵심 요직 인사에 대한 대대적인 경질 인사가 이뤄졌다는 보도인데, 구체적인 인사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정치국 상무위원은 김 총비서를 포함해 모두 5명(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리병철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김덕훈 내각 총리, 조용원 조직 비서)이고, 당중앙위 비서는 7명(조용원·리병철·정상학·김두일·최상건 등)이다. 정치국 위원은 19명(상무위원 5인 포함), 정치국 후보위원은 11명이다.
회의에서는 “일부 책임간부들의 직무태만 행위가 상세히 통보”됐으며 “보신주의와 소극성에 사로잡혀 인민생활 안정과 경제건설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일부 책임간부들의) 과오의 엄중성이 신랄하게 분석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당과 국가의 중요 직책을 맡고 있는 책임간부들이 현시기 조국과 인민의 안전, 사활이 걸린 국가비상방역체계의 지속적 강화와 나라의 경제사업과 인민생활 안정에 엄중한 저해를 준데 대해 심각히 지적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와 관련해 조용원·김재룡(당 조직지도부장), 김여정·현송월(이상 당 중앙위 부부장) 등이 ‘비판토론’에 나선 모습이 이날 오후 <조선중앙텔레비전>으로 방송됐다.
리병철·김덕훈의 ‘비판토론’ 모습은 나오지 않았다. 이들은 김 총비서가 지난 15~18일 당중앙위 8기3차 전원회의에서 강조한 “비상방역 장기화”에 대응한 “강한 방역 규율 준수”와 “인민생활 안정”의 책임을 떠맡은 양대 축인 인민군과 내각의 책임자다. 다만 <노동신문>이 최룡해 상임위원장과 김 총리의 “현지 료해(점검)” 소식을 각각 29일치와 27일치 1면으로 전한 사실에 비춰, 군 책임자인 리병철이 경질 인사 대상에 올랐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보인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