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주 북한이탈주민(탈북민) 가운데 형편이 어려운 ‘취약계층’의 절반 가까이가 정서·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가 6일 발표한 ‘2021년 하반기 북한이탈주민 취약계층 조사·지원 결과’를 보면, 국내 정착 탈북민(3만3800여명) 가운데 취약계층으로 분류된 조사 대상 1582명의 47%가 정서적·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개별 분야로 나눠 보면 ‘생계’를 ‘주요 문제’로 꼽은 이가 25%로 가장 많았다.
응답 탈북민이 ‘주요 문제’(복수 응답)로 꼽은 내용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생계(25%) △교육·진학(22%) △정신건강(20%) △신체건강(13%) △가족관계(4%) △(게임·알콜·약물)중독문제(1%) △코로나19로 인한 실업(1%) △기타(14%) 등이다. 이 가운데 ‘교육·진학+정신건강+가족관계’, 곧 정서적·심리적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한 이가 47%다. 아울러 응답자의 71%는 ‘2개 이상의 복합적 문제’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통일부는 “이번 조사로 파악한 문제를 바탕으로 조사 대상자 1582명의 77%인 1226명에 대해서 1418건의 맞춤형 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2019년 9월에 수립된 ‘북한이탈주민 생활안정 종합대책’ 후속 조처의 일환으로, 지난해 11월 26일~12월27일 통일부 주관으로 ‘전화+방문’ 조사 병행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런 조사는 2019년부터 한해 2차례씩 진행됐고, 이번이 여섯 번째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