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지하 핵실험 장소
대북정책 기조 수정 가능성 비쳐
한·미·일 정상 대응책 긴밀 협의
부시 “안보리 즉각대응 있을 것”
한·미·일 정상 대응책 긴밀 협의
부시 “안보리 즉각대응 있을 것”
노무현 대통령은 9일 청와대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한 뒤 기자회견에서 북한 핵실험과 관련해 “정부도 포용정책만을 계속 주장하기 어려운 문제이며, 포용정책이 효용성이 있다고 더 주장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포용정책의 부분적인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나타낸 것이자, 유엔 안보리의 추가 대북 제재 결의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노 대통령은 또 이날 밤 조지 부시 미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우방들과의 긴밀한 협의를 바탕으로 유엔 차원의 조처 등 전략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부시 대통령은 통화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가장 중시하고 있으며 △미국은 절제되고 침착한 태도로 대응하며 △미국은 유엔의 협조와 유엔에서의 논의를 지지하고 있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정부 당국자는 전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어 특별성명을 내어, “(북한 핵실험은) 세계 평화와 안보에 대한 극단적인 위협이자 도발적 행동”이라고 비난하고 “유엔 안보리의 즉각적인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유엔 안보리에서 존 볼턴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북한에 대한 제재 방안으로 대량살상 무기나 관련 물질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북한을 출입하는 화물들에 대한 국제적인 검색을 제의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볼턴 대사가 제의한 제재 방안에는 또 전면적인 무기 금수와 대량살상 무기 관련 자산에 대한 동결 조처 등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핵) 상황이 한국의 역할과 자율성이 축소되는 쪽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고, 포용정책이라는 것이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효하지 않았다는 평가가 거세게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며 남북관계에서도 분명한 조처가 뒤따를 것임을 확실히 했다.
이에 앞서 북한은 조선노동당 창건 61돌 기념일(10월10일)을 하루 앞둔 이날 낮 <중앙통신> 등 관영 매체를 통해 “지하 핵시험을 안전하게 진행했다”고 밝혔다.
김승규 국가정보원장은 북한이 이날 오전 10시35분께 함경북도 김책시에서 15㎞ 떨어진 상평리 지역에서 1㏏ 미만의 지하 핵 실험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했다. 또 상평리에서 북쪽으로 50여㎞ 떨어진 함북 길주군 풍계리 지역에서 추가 핵 실험 준비로 보이는 징후가 나타났다고 김 원장은 덧붙였다.
정보위 열린우리당 간사인 유선호 의원은 이날 “북한의 핵실험 지역은 북위 40.81도, 동경 129.01도(상평리)로 추정되고 있다”며 “함북 길주군 풍계리 지역과 화대군 지역도 핵실험지로 배제할 수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국 정보당국은 길주군 풍계리를 핵실험 장소로 지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승근 이제훈 기자 skshin@hani.co.kr
그러나 미국 정보당국은 길주군 풍계리를 핵실험 장소로 지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승근 이제훈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