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당곡리, 전북도-남포 지원 등 무산 위기
[북한 핵실험 파장]
지방자치단체들의 대북교류사업도 주춤하고 있다.
경기도는 오는 2008년까지 모두 1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할 예정이던 평양시 ‘당곡리 마을 현대화사업’(당곡리 개건사업)을 모두 중단한다고 10일 밝혔다. 한석규 경기도 기획관리실장은 “향후 신규 물자지원은 전면 보류한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당곡리 일대 벼농사 협력사업을 지난해 3천평에서 올해 30만평으로 늘려, 지난달 벼수확까지 마쳤다. 올해말까지 주택 59채를 손질하고 도정공장 건립과 마을도로 포장을 마무리할 예정이었다. 올해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이곳에 주택 180채를 새로 짓고 중학교와 탁아소, 병원을 신축하려고 했으나 이 계획들도 역시 무산될 상황이다. 경기도는 또 그동안 추진해온 애니메이션 남북공동제작사업도 접고, 이달 24일 파주 임진각에서 열 세계적 시사만화가 라난 루리 작품 기공식도 무기한 연기하기로 했다.
전북도도 11일 남포로 보낼 양돈장 건설 자재 7800만원어치의 선적을 중단했다. 전북도는 지난달 닭가공 전문업체 ㈜하림 실무진 등과 함께 방북해, 평안남도 남포시 대대리 돼지목장에 축사를 지어주기로 합의한 바 있다. 전북도는 이 마을과 황해남도 신천군 등에 올해 지원하기로 한 15억4천만원 가운데 못자리와 농기계 공급 등으로 이미 3억8천만원을 지급했으며, 앞으로 11억6천만원을 지급할 예정이었다. 강승구 전북도 농림수산국장은 “앞으로 중앙정부의 방침과 남북관계 개선 정도에 따라 지원속도를 조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호 경남지사도 21일부터 나흘 동안 북한 민족화해협의회 초청으로 평양시 강남군 장교리 협동농장을 둘러보려던 계획을 접었다. 경남도는 강남군에 농기계를 기증하고 채소 비닐온실 조성 등을 지원해왔다.
2005년부터 200억원의 남북교류협력기금을 조성해 지원사업을 펼쳐온 서울시도 기금 집행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지금까지 민간단체를 통해 용천재해지역돕기·수해복구의약품지원 등에 32억원을 지원했으나 앞으로 신규 사업을 보류할 예정이다.
이유주현 홍용덕 박임근 김광수 기자
edigna@hani.co.kr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