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핵실험과 관련한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에 대해 북한은 만 60시간만인 17일 오후에야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북한은 이날 외무성 대변인 성명에서 "이번 결의는 미국의 각본에 따른 것으로 우리 공화국에 대한 선전포고로 밖에 달리 볼 수 없다"면서 "유엔 안보리 결의를 내들고 우리의 자주권과 생존권을 털끝만치라도 침해하려든다면 가차없이 무자비한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또 "금후 미국의 동향을 주시할 것이며 그에 따라 해당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이번 성명은 결의안 채택 당시 박길연 유엔대사가 현장에서 "미국의 추가적인 압력이 있을 경우 이를 전쟁선포로 간주할 것"이라는 발언에 뒤이어 나온 것으로, 다소 구체적인 대응 방침을 언급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곧, 북한은 안보리 결의를 시행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무자비한 탄압으로, 미국에 대해서는 그 동향에 따라 2차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등 추가 조치로 맞서나가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날 성명발표 배경에 대해 고려대 남성욱 교수는 "미국이 대북 압박을 가하거나 남한과 중국에 안보리 결의에 적극 동참을 촉구할 경우에 대비해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성명은 지난 16일 'ㅌ.ㄷ 결성 80주년' 중앙보고대회에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안보리 결의와 관련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은데다 결의안 채택후 60시간이 경과한 뒤에 나온 점도 주목된다.
지난 7월 16일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결의안 채택 때에는 12시간여만에 외무성 성명을 통해 강력 반발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이번 핵실험 관련 결의안이 미사일 발사 때보다 더욱 강력하고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북한으로서는 더욱 더 세밀한 분석과 대책 마련이 필요했고 그에 따라 군부와 외무성 등 관련 부서들간에 입장 조율에 시간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북한이 '효과 극대화'의 시점을 저울질한 끝에 힐 차관보(17일)와 라이스 국무장관(18일)의 방한에 즈음해 이날을 택한 것으로도 분석된다. 문성규 기자 moonsk@yna.co.kr (서울=연합뉴스)
지난 7월 16일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결의안 채택 때에는 12시간여만에 외무성 성명을 통해 강력 반발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이번 핵실험 관련 결의안이 미사일 발사 때보다 더욱 강력하고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북한으로서는 더욱 더 세밀한 분석과 대책 마련이 필요했고 그에 따라 군부와 외무성 등 관련 부서들간에 입장 조율에 시간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북한이 '효과 극대화'의 시점을 저울질한 끝에 힐 차관보(17일)와 라이스 국무장관(18일)의 방한에 즈음해 이날을 택한 것으로도 분석된다. 문성규 기자 moonsk@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