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 이후 금강산 관광 중단을 요구하는 주장이 나오면서 통일운동 단체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금강산 관광 살리기에 힘을 쏟고 있다. 여론도 금강산 관광 지속에 우호적이다.
평화통일시민연대의 장윤지 사무국장은 18일 “금강산 관광이 북 핵실험과 어떻게 관련됐는지, 관광이 중단됐을 때 뭘 얻을 수 있는지 아무런 근거나 설명도 없이 (일부에서) 문제를 확대·왜곡하고 있다”며 “금강산 관광은 한반도 평화의 상징”이라고 주장했다. 한충목 통일연대 상임집행위원장은 “핵실험 이후 급격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금강산 관광을 살리기 위해 여러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금강산 지키기 범국민운동’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일연대, 민중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19일 오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금강산 관광 등 교류협력 사업 유지를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도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 등 남북 경제협력 사업을 계속해야 한다는 답변이 우세를 유지하고 있다. 북한 핵실험 바로 다음날인 10일 <문화방송>과 <중앙일보>가 벌인 여론조사에서는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절반을 조금 넘었지만, 같은 날 <에스비에스> 여론조사에서는 반대로 사업 지속 의견이 절반을 넘었다. 이후 <한겨레> 여론조사(14일)에서는 응답자의 49.6%(248명)가 남북 경협 사업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고 밝혀,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233명·46.6%)을 앞선 데 이어 <내일신문> 여론조사(14~15일)에서는 사업 계속 의견이 62%나 됐다.
지난 8월 가족과 함께 금강산에 다녀온 김진석(32·회사원)씨는 “금강산 관광에서 북한 사람들을 접하면서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을 느끼게 되고 통일에 대한 의지도 생기는 것 같다”며 금강산 관광이 계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신재 임인택 기자 oh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