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김계관 27일 중국방문 요청
한국의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천영우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27일 중국을 방문한다. 일본 쪽 대표인 사사에 겐이치로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이미 26일 베이징에 도착했으며, 미국 쪽 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27일 베이징에 들어갈 예정이다.
중국 쪽은 북한 쪽 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에게도 28일 베이징에 와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번주 중 베이징에서 남·북한과 미국, 일본, 중국 등 5개국 6자 회담 수석대표 사이의 연쇄 회동이나 사실상의 예비 6자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생겼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은 26일 “북-미 직접 또는 간접 대화에서 북한의 초기 핵폐기 이행 조처와 방코델타아시아(BDA) 계좌 동결 해제 문제가 집중적으로 도마에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 국무부는 “힐 차관보가 이번 중국 방문 기간에 북한 인사들과 만날 계획은 현단계에선 없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도 “현재로선 베이징에서 3자, 4자, 5자 등 6자 회담 수석대표들의 다자회동 계획은 잡혀 있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천 본부장이 6자 회담 준비 차원에서 중국을 방문해 우다웨이 외교부 부부장과 만날 약속만 잡아놓고 있지만, 힐 차관보와 만날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미·일 3국은 지난 1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아펙) 정상회의 때 머잖아 재개될 6자 회담에서 북한의 핵 개발을 포기시키기 위한 5개항을 요구하기로 합의했다고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이 26일 보도했다.
이날 방송이 보도한 5개항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관을 수용할 것 △지난 10월 핵실험을 했던 실험장을 봉쇄할 것 △모든 핵 관련 시설을 신고할 것 △영변에 있는 핵 관련 시설의 이동을 중지할 것 △지난해 9월 6자 회담에서 채택된 핵무기 및 핵계획 포기를 요구한 공동성명을 일정 기간 내에 이행할 것 등이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