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북한에 대한 제재 분위기의 고삐를 다시 죄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 국무부는 8일(현지시각) 대북제재의 연장선으로 조선원자력총국과 조선단군무역회사 등 2개 북한 기관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이들 기관은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 내 기관과의 상업적 거래가 차단된다. 원자력총국과 조선단군무역회사는 대량살상무기 및 미사일 프로그램 지원에 연루됐다는 이유로 지난 7월16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의해 제재 대상으로 지정됐던 5곳 가운데 두 곳이다.
미국의 이번 조처는 북한이 지난 3일 우라늄 농축이 성공적으로 진행돼 추출한 플루토늄을 무기화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2차 핵무기 생산 가능성을 암시한 데 따른 대응으로 보인다. 미국이 유엔 결의를 수용하는 한편, 제재의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상징적 의미가 강하다.
이와 관련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주재 미국 대사인 글린 데이비스는 8일(현지시각)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 이사회 연설에서, 북한의 비핵화를 끌어내기 위해 “유엔이 결의한 제재 조처를 효율적으로 집행하는 일이 필수적”이라며 국제적인 제재 공조와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거듭 촉구했다. 데이비스 대사는 “유엔 제재 조처 이행은 북한으로 하여금 비핵화와 국제외교 사회로의 복귀가 유일한 방안임을 믿도록 하는 것”이라며 “대북제재는 핵확산 방지 조약의 실효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북한의 양자회담 요구와 관련해 “미국은 6자회담의 틀 안에서 북한과 직접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6자회담 복귀를 거듭 강조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