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롤리 차관보 “최종 확정 안돼”
“협상 전략” “5개국과 조율” 분석
“협상 전략” “5개국과 조율” 분석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과 직접 대화를 할지에 대해 ‘최종 결정되지 않았다’며 잇따라 신중한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가 지난달 11일 브리핑에서 유엔 총회(9월21~23일)가 끝나면 북-미 대화 개시를 공식적으로 밝힐 듯한 발언을 한 것에 비춰보면 다소 의외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유엔 총회 기간 동안 한국과 일본 정부는 북-미 대화를 반대하지 않는다거나 환영한다는 입장을 미국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도 한국·중국·일본·러시아가 북-미 대화 접근법에 지지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막상 북-미 대화 개시 여부에 대해 커트 캠벨 국무부 차관보를 비롯한 미국 당국자들은 공개적인 브리핑 자리에서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크롤리 차관보도 30일(현지시각) 기자들과 만나 “(북한으로부터) 양자 대화 제의가 있었고, 우리는 이를 여전히 평가 중”이라고만 답했다.
미국이 이처럼 조심스런 태도를 취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전략적 고려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북-미 대화를 서두르고 있지 않다는 모습을 보여, 향후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포석이라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시기 문제와는 별개로, 미국이 미-북 대화를 하기로 거의 결정한 것은 맞다”며 “다만, 협상을 앞두고 카드를 미리 꺼낼 필요는 없다는 판단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절차상으로도, 미국 내 관계부처 간 조율은 끝났지만 오바마 대통령의 최종 결재가 남아있어 확정적으로 발표하지 못하는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또한 미첼 리스 전 국무부 정책기획실장은 <미국의 소리>(VOA)와의 인터뷰에서 “당사국들간에 북한에 전할 메시지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있다”며, 5개국간 내용 조율이 덜 끝나 북-미 대화 발표를 미루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켠에선 미국이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선언 등을 북-미 대화의 조건으로 걸고 북한의 답변을 기다리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미 당국자들은 적어도 겉으로는 “미-북 대화를 위한 전제 조건은 없다”고 말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