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뉴욕 토론회서 ‘6자틀 속 북-미대화’ 언급
유명환 장관 “북-미대화 연말연초에 열릴 것”
유명환 장관 “북-미대화 연말연초에 열릴 것”
북한이 북-미 대화를 위해 그동안 강하게 반대했던 ‘6자회담’에 대해서도 유연한 자세를 보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미국을 방문했던 리근 외무성 미국국장 등 북한 대표단은 6자회담에 열린 태도를 보였으며, 특히 ‘6자회담 틀 안의 북-미 양자대화’를 언급하기도 했다고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이 4일 전했다. 북한 대표단은 지난달 30일 뉴욕에서 열린 전미외교정책협의회와 코리아소사이어티가 공동주최한 북한 토론회에서 “북한이 미국과의 양자대화를 선호하지만, 6자회담에도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쪽 한 참석자는 “6자회담 틀 안의 북-미 대화가 필요하다”며 “미국과 안보문제에 대한 대화가 필요하며, 이는 6자회담의 진전을 이끌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뉴욕 사회과학원의 리언 시걸 박사도 “북한 대표단은 미국과 북한 간의 양자회담을 원하고 6자회담 틀 안에서 양자회담도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 밖에 북한 대표단은 “미국과 좋은 관계를 맺는다면 역내 미군의 주둔을 북한이 환영할 수도 있다”는 견해까지 나타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이 토론회에서 북한 대표단이 “우리는 전적으로 중국에 종속되길 원치 않는다”며 “한국, 미국, 일본 등과 경제교류 확대를 희망하기도 했다”고 4일 보도해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북한 대표단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에 대해서도 “제재 철폐를 원하고 있지만 제재 철폐가 대화의 전제조건은 아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미국은 4일 북-미 대화 여부를 계속 검토중이며 적절한 때가 되면 결정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이언 켈리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미 대화와 관련해 “숙고를 하고 있다. 확실히 중요한 논의를 이끌지 않는 대화를 하고 싶지는 않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해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5일 북-미 양자대화가 “당장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에 오기까지는 어려울 것”이라며 “연말연초에 열리는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