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면 식량지원 중단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방침을 북한 쪽에 전달했다고 <교도통신>이 3일 워싱턴발로 보도했다.
통신은 미국 정부 관계자와 중국 사정에 밝은 6자 회담 소식통들이 이렇게 말했다며, 북한 핵실험에 대한 우려가 고조된 지난 4월 이후 중국이 사실상의 제재에 해당하는 식량지원 중단 의사를 밝히며 핵실험 중지를 촉구한 사실이 알려진 것은 처음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북한 식량부족분의 30~40%를 지원하는 최대 원조국이어서 식량지원 중단은 상당한 타격이 될 전망이다. 소식통들은 중유 공급 중단 방안에 대해선 한 번 중단하면 공급 재개 때 문제가 생길 위험이 크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됐다고 말했으며, 북한 체제 자체를 흔들 만한 타격이 된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고 통신은 전했다.
중국의 이런 방침은 북한의 핵실험 때 가해질 대북 경제 제재와 군사적 긴장이 중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어 핵실험은 절대로 용인할 수 없다는 메지지를 북한에 분명히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전해졌다.
한편 한국과 미국, 일본 등 3국의 6자 회담 수석대표들은 지난 1일 저녁 워싱턴에서 비공식 회동을 열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의 재개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6자 회담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가 1일 오후 사사에 겐이치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한국의 송민순 외교차관보를 차례로 만나 양자 협의를 한 뒤 이들과 비공식 만찬을 했다고 2일 말했다.
세 나라가 3자 회동을 한 것은 지난 2월26일 서울에서 상견례를 갖고 북핵 문제에 대한 토론을 한 뒤 처음이다. 도쿄/박중언 특파원, 연합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