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부문 약속이행땐 정부단 규모 줄일수도”
정부는 3일, 북쪽이 합의를 깨고 일방적으로 6·15 공동선언 5돌 기념 민족통일대축전에 참가하는 남쪽 대표단 규모를 줄여달라고 요구한 데 대해 유감의 뜻을 전달했다. 그러나 민간 부문의 합의사항이 존중되고 이행된다면 당국 대표단 규모에는 연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이날 오전 김웅희 6·15 남북 당국행사 실무협의 수석대표 명의로 북쪽 전종수 단장에게 전화통지문을 보내, 남북이 합의서에 서명한 지 며칠도 지나지 않아 일방적으로 쌍방 합의 내용을 변경하려는 북쪽의 태도에 유감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전통문에서 “행사 개최를 불과 10여일 앞두고 ‘정세’ 문제를 내세우면서 새로운 장애를 조성하고 있는 데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며 “이번 행사를 원만히 성사시키는 것이 오히려 정세 완화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통일부는 또 “민간 부문의 합의사항이 이행되지 않고서는 통일대축전 행사가 제대로 개최될 수 없으며, 양쪽 당국 대표단의 파견도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라며 “남·북·국외 공동준비위원회의 합의사항은 존중되고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이어 “민간이 참가한 가운데 이번 행사가 의미있게 진행되는 것이 긴요하다는 입장”이라며 “(이런 맥락에서) 당국 대표단의 규모 문제는 중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6·15 공동행사는 민간 쪽의 주도로 준비작업이 진행돼 왔으며, 남과 북 당국은 행사에 대표단을 파견해 ‘참관’하는 형식”이라며 “민간 행사가 예정대로 치러진다면, 당국 대표단 규모를 줄이는 것이 큰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백낙청 상임대표 등 6·15 민족통일대축전 남쪽 준비위원회 관계자 9명은 4∼7일까지 평양에서 열리는 최종 실무협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날 오전 인천공항을 통해 떠났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