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성인 1000명 면접조사
이명박 정부가 ‘북쪽과의 적극적 대화 추진’으로 대북정책 방향을 틀어야 한다는 국민 여론이 과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단계에서 남북정상회담을 여는 데 ‘찬성’하는 비율도 86.7%로 ‘반대’(13.3%)를 압도했다.
통일연구원은 2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이명박 정부 2년 대북정책 성과 및 향후 추진방향’ 심포지엄에서 이런 내용의 ‘국민들의 대북인식 변화와 대북정책 평가’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조사는 지난해 11월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상대로 면접을 통해 이뤄졌다.
이를 보면, ‘남북관계에서 정부가 취할 필요가 있는 가장 바람직한 태도’에 대한 질문에 54.1%는 ‘대화 추진’이라고 응답했다.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우회적 방법 활용’을 선택한 이도 27.6%였다. 반면에 ‘조용히 기다린다’는 소극적 정책 기조를 택한 비율은 14.9%, ‘지속적으로 압박한다’는 응답은 6.1%에 그쳤다.
통일연구원은 “국민 대다수는 ‘남북간 직접대화’나 ‘국제사회를 통한 간접 대화노력’ 등 대화를 통한 적극적인 대북정책을 주문한 것으로, 소극적 정책이나 적대정책에 대한 지지는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명박 정부의 현단계 대북정책에 대해선 ‘찬성’ 비율이 58.4%로 ‘반대’(41.6%)보다 높았다. 정부의 대북정책이 북한 핵폐기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도 53.0%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47.0%)보다 약간 많았다.
북한에 대한 국민 인식은 이명박 정부 들어 눈에 띄게 나빠졌다. ‘북한이 어떤 대상인가’라는 질문에 ‘경계대상’(43.8%), ‘적대대상’(12.6%) 같은 부정적 답변이 56.4%에 이른 반면, ‘협력대상’(22.5%), ‘지원대상’(15.8%)이라는 ‘긍정적’ 응답은 38.3%에 그쳤다. 2005년엔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 31.1%, 긍정적 인식 64.9%로 이번과 정반대 양상을 보였다.
통일연구원은 “북한 관련 부정적 인식이 햇볕정책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은 지난 2년간 계속된 남북관계 경색과 북한 체제의 경직성이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