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봉 장소·규모 논의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이 24일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속개된다. 이날 만남에서는 상봉 장소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별도 접촉도 이뤄질 예정이어서, 금강산 관광 재개와 관련한 구체적 논의로 나아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북쪽은 지난 20일 대한적십자사(한적) 총재 앞으로 통지문을 보내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 금강산 상봉 장소 문제를 별도로 협의할 관계일꾼 2명을 내보내려 하니 남쪽에서도 그에 상응한 관계자들이 함께 나와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한적은 23일 보낸 답신에서 “북쪽이 제기한 (상봉 장소) 문제에 대해서는 기존 대표단이 당국의 위임을 받고 참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24일 실무접촉에는 남쪽에선 지난 17일 실무접촉에 이어 김의도 한적 남북교류실행위원(통일부 정책협력관)과 김성근 한적 남북교류팀장이 수석대표와 대표로 나선다. 북쪽에선 박용일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단장과 박형철 대표가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한 접촉을 담당한다. 더불어 강용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참사와 주광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책임부원, 리경진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 과장 중 2명이 상봉 장소 문제를 별도 협의하기 위한 접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지난 2월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실무접촉에 참여한 바 있다.
남북은 지난 17일 실무접촉을 열어 상봉일정(10월21∼27일)은 의견접근을 봤지만, 상봉장소와 규모를 둘러싼 견해차를 좁히지 못해 추가 실무접촉을 하기로 했다. 당시 북쪽은 상봉 장소에 대해 ‘금강산지구 내’라고 밝혔을 뿐 구체적인 장소를 언급하지 않았고, 남쪽은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상봉장소로 못박자고 요구했다. 또 남쪽은 100가족보다 늘어난 규모를 주장했지만, 북쪽은 전례대로 100가족을 고수하며 맞섰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