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 연평도 공격’ 규탄 반대…긴급회의 소득없이 끝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9일(현지시각) 한반도 긴장 고조와 관련해 긴급회의를 열었지만 별다른 합의를 이뤄내지 못한 채 회의를 마쳤다.
안보리는 이날 오전 11시(한국시각 20일 새벽 1시)부터 저녁 7시30분까지 무려 8시간30분간 마라톤 회의를 진행했으나, 중국이 지난달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을 규탄하는 내용을 성명에 포함하는 데 반대하면서 접점을 찾을 수 없었다. 이달의 순회 안보리 의장인 수전 라이스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기자회견에서 “회의에서 여러 이사국이 북한의 천안함 침몰 및 연평도 포격을 강하게 규탄했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 소집을 요구한 비탈리 추르킨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회의에서 의장성명 채택이 실패한 뒤에도 “현시점에서는 훈련을 자제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애초 안보리는 러시아가 제안한 의장성명 초안을 놓고 검토작업을 벌인 결과 대다수 이사국이 북한의 연평도 포격을 비난하는 내용을 성명에 담자고 제안했지만, 중국의 반대로 끝내 어떤 결론에도 이르지 못했다. 러시아가 마련한 초안은 남북 양쪽에 ‘최대한의 자제’를 촉구하고, 평화적 해결을 위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남북에 특사를 파견하는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논의 과정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이 위기의 원인을 제공한 북한의 연평도 포격을 비난하지 않는 성명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서방국가와 러시아는 ‘11월23일 사건에 대해 북한을 규탄한다’는 내용에까지 의견차를 좁혔지만, 중국이 ‘북한 규탄’이 성명에 포함되는 것을 강하게 반대해 합의안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박인국 유엔주재 대사는 “러시아가 긴급회의를 소집한 것은 남북 양쪽의 자제를 촉구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실제 안보리 회의는 북한의 연평도 도발을 규탄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의 사격훈련이 실시되자, <뉴욕 타임스>는 20일 “한국의 사격훈련 실시로 북한과의 분쟁지역에서 긴장이 더욱 높아졌다”며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당시 온건하게 대응했다는 이유로 정치적 궁지에 몰린 이명박 정부로서는 사격훈련 철회가 정치적 치명타가 될 수 있기에 포기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