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실무회담 결렬…정부 “적십자회담 개최 동의”
남북은 9일 판문점 남쪽 구역인 평화의 집에서 고위급 군사회담 의제 등을 논의하는 실무회담을 이틀째 진행했으나, 의제 문제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해 다음 실무회담 일정도 잡지 못하고 헤어졌다.
실무회담 남쪽 수석대표인 문상균 대령(국방부 북한정책과장)은 “북쪽은 오후 회의에서 우리 쪽 입장 변화가 없다고 비난하며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고 오후 2시50분 일방적으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갔다”며 “오전 10시에 시작한 회담은 10시50분에 정회됐다가 오후 2시20분에 다시 시작됐으나 속개 10여분 만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회담장 철수 직전 북쪽은 “천안함 사건은 철저하게 우리와 무관한 사건”이라며 “미국의 조종하에 남쪽의 대북대결정책을 합리화하기 위한 특대형 모략극”이라고 주장했다고 문 대령이 전했다. 북쪽은 연평도 포격에 대해선 “남쪽이 연평도를 도발의 근원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문 대령은 덧붙였다. 이상철 국방부 군비통제차장(준장)은 “남쪽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을 먼저 논의해 매듭짓고 이후 다른 문제를 다루자는 쪽인데 북쪽은 모든 의제를 한꺼번에 포괄적으로 이야기하자고 했다”고 회담이 일단 결렬된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유종하 대한적십자사 총재 이름으로 된 대북 전통문을 보내, 북쪽이 제의한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다만 “회담의 구체적인 일자 및 장소는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 이후에 쌍방이 협의해 확정해 나가자”고 제의해, 고위급 군사회담이 열리지 못할 경우 적십자회담 개최도 어려울 전망이다. 권혁철 손원제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