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미국인 추정
미국인 1명이 북한에 억류돼 있다고 미국 국무부가 12일(현지시각) 밝혔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런 사실을 밝히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억류된 미국인을 석방하라고 북한에 촉구했다. 미국은 북한에서 미국의 이익대표부 구실을 하는 평양 주재 스웨덴 대사관을 통해 이 미국인의 석방을 요구했다며, 스웨덴 대사관 쪽이 이 억류 미국인을 방문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국무부는 억류 미국인의 신원과 구체적 억류 경위, 시기 등은 본인이나 가족으로부터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허락을 아직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밝히지 않았다. <시엔엔>(CNN) 방송은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억류 미국인이 한국계 미국인 남성 기업인이며, 북한 입국 비자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에이비시>(ABC) 방송은 이 미국인이 지난해 11월 북한에 억류됐다고 전했다.
미국인이 북한에 억류된 것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출범 후 네번째다. 2009년 3월 미국 국적의 여기자 로라 링과 유나 리가 탈북자 관련 취재 중 중국과 북한 간 국경을 넘었다 체포돼 억류된 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방북해 같은 해 8월 석방됐고, 이어 12월에는 대북인권 활동을 하던 미국 국적의 재미동포 로버트 박이 북한에 무단 입국했다가 체포돼 억류된 뒤 추방됐다. 또 2010년 1월에는 미국인 아이잘론 말리 곰즈가 북한에 무단으로 들어갔다가 억류된 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을 통해 7개월 만에 돌아왔다. 이번 억류 미국인이 이달 말 예정인 카터 전 대통령의 북한 방문을 통해 석방될 수 있을지도 주목되고 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