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호크
디펜스21 “장비값에 개발비 별도 요구” 보도
정부 구매액 1조원대 이를 듯…도입 놓고 논란
* 글로벌호크 : 고고도 무인정찰기
정부 구매액 1조원대 이를 듯…도입 놓고 논란
* 글로벌호크 : 고고도 무인정찰기
천안함·연평도 사태를 겪은 정부가 고고도 무인정찰기인 글로벌호크(사진) 조기 도입 방침을 밝힌 뒤 미국 쪽이 값을 두배 가까이 높여 부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달 대북 정보수집 능력 제고를 위해 글로벌호크 도입 시기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는데, 값이 크게 뜀에 따라 도입을 두고 논란이 예상된다.
군사전문 웹진 <디펜스21>은 최근 미국 쪽이 글로벌호크 4대 구매비용으로 4억5000만달러를 제시했으며 이와 별도로 3억5000만달러의 개발비를 요구했다고 29일 보도했다. 여기에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인도 시점에서의 추가 비용 정산 요구까지 계산하면 구매 총액은 애초 예상액의 두배 이상인 1조원대에 이르고, 운영비도 매년 25%씩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무인정찰기와 인공위성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감시·정찰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해 지상 수신기지 시설이 갖춰진 괌의 미군기지에 운용기지를 배치해야 한다는 뜻을 미국 쪽이 밝혔다고 <디펜스21>은 보도했다. 글로벌호크는 지상 20㎞ 상공에서 첨단 레이더와 광학·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구름에 구애받지 않으며 지상 시설물과 움직임을 관측·촬영할 수 있는 고고도 무인정찰기다. 24시간 동안 가로세로 30㎝가 1개의 점으로 표시되는 상세 사진 수천장을 촬영할 수 있는 첩보위성 수준급 전략무기로, 작전반경은 3000㎞에 이른다.
글로벌호크의 값이 크게 뛴 이유는 미국 국방예산 감축에 따른 수요 감소로 단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12일 마이클 던리 미 공군참모총장이 의회에 제출한 서한에서 글로벌호크 발주량이 14% 줄어들어 대당 가격이 25% 이상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제조사인 노스럽 그러먼도 “공군 당국이 2015년까지 생산할 예정인 최신 개량형 블록40 모델의 조달 대수를 22대에서 11대로 줄인 게 큰 영향을 끼쳤다”고 밝혔다. 결국 미국 국방예산 삭감의 불똥이 우리 정부의 글로벌호크 도입 계획으로 떨어진 셈이다.
한국 정부는 몸이 달아 있는 상태다. 지난해 하반기 전시작전권 환수와 대북 감시체계 강화를 내세워 글로벌호크 도입을 결정하고 미국 쪽에 판매의향서(LOA)를 신청한 뒤 답변을 기다리는 중인데, 지난달 ‘국방개혁 307계획’을 발표하며 스텔스급 차세대 전투기와 글로벌호크 조기 도입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이런 논란과 관련해 “미국 쪽이 그런 제안을 했는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곧 판매의향서 신청에 대한 공식 답변이 올 텐데, 이때 투명한 논의를 거쳐 처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