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이병 공모 시인
정아무개(20) 이병이 해병대 총기참사의 공범이었음이 확인되면서 사건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우발적 사고가 아니라 김아무개(19) 상병을 포함한 복수의 병사들이 계획적으로 동료를 살해하려 한 셈이기 때문이다.
6일 새벽 1시20분께 긴급체포된 정 이병은 처음엔 범행 가담 혐의를 부인했다. 지난달께부터 김 상병과 ‘함께 구타를 없애자’, ‘사고 친 뒤 탈영하자’며 의기투합하긴 했지만, 총기 탈취나 총격에는 가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고가초소를 폭파시키라’는 지시와 함께 수류탄을 건넸다”는 김 상병의 진술, ‘정 이병이 고가초소 근처를 서성거렸다’는 부대원들의 증언을 들이밀자 결국 이 부분 혐의를 시인했다.
하지만 정 이병의 정확한 범행 가담 정도는 규명되지 않은 상태다. 김 상병이 정 이병과 함께 총기를 탈취했다고 진술했지만, 정 이병은 이를 부인하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결국 김 상병으로부터 얼마나 많은 진술을 이끌어내느냐가 사건 해결의 관건이다. 이와 관련해 국방부 조사본부 김영수 수사2과장(해군 중령)은 “전신다발성 파편상을 입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고, 기도 삽관을 제거한 뒤 대화가 가능해 (6일 아침까지) 두차례 조사를 진행했다”며 “아직 피해자들의 사망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으며 처벌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안한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수사가 진행되면서 허술한 총기·탄약 관리 실태와 무단 음주 행태 등이 낱낱이 드러나고 있다. 국회 국방위 송영선 의원은 이날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근거해 “상근예비역 김아무개 일병이 근무를 마친 뒤 탄통의 열쇠를 자신의 조끼 윗주머니에 넣어둔 채 퇴근했으며, 김 상병이 이를 몰래 훔쳐 탄약을 절취했다”고 밝혔다. 경계근무를 마친 뒤 탄통의 열쇠 2개를 상황실에 반납해야 하는데, 그냥 주머니에 넣어두는 게 관례였다는 것이다.
김 상병이 범행 전 술을 마신 것도 사실일 가능성이 큰 상태다. 김 과장은 “‘김 상병에게서 술냄새가 났다’는 정 이병의 진술이 신빙성이 높아 보인다”며 “부대 근처가 마을이고 근무를 서는 해안초소도 마을 길을 지나야 갈 수 있는데, 김 상병이 사건 전날 근무 뒤 복귀하면서 술을 구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합참 이호연 전비태세검열실장(해병 소장) 주관 아래 기무와 헌병, 인사 등 5개 기관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사고 부대의 경계작전 기강 및 부대관리 실태를 점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