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영원한 총비서’ 왜
총비서직 `영구 결번’ 처리
권력교체기 불안 차단 의도
4달만에 당 체제정비 마무리
총비서직 `영구 결번’ 처리
권력교체기 불안 차단 의도
4달만에 당 체제정비 마무리
북한이 11일 당대표자회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영원한 총비서로 추대한 것은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유일 영도체제’를 앞세워 김정은 체제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애초 이번 당대표자회에서는 김정은 당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이 총비서로 추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북한은 많은 전문가의 예상을 뒤엎고 총비서직을 영원히 ‘결번’ 처리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일의 영원한 총비서 추대와 관련해, 대표자회가 김정일 위원장의 유훈을 조선노동당의 ‘강령적 지침’으로 삼기로 했으며 “김정일 동지의 혁명 생애와 불멸의 업적을 길이 빛내여 나갈 것을 결정하였다”고 보도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과 권위에 기대 김정은 체제의 조기 안정을 꾀하겠다는 의도다. 북한은 앞서 1994년 김일성 주석을 영원한 주석으로 추대하고 ‘유훈통치’ 체제로 유례없는 식량난을 겪은 ‘고난의 행군’ 시절을 극복한 적이 있다.
북한은 대신 김정은 제1비서 체제를 선택했다. 제1비서는 그동안 없던 직책이다. 북한은 당규약 개정 내용 등을 곧바로 공개하진 않았다. 그러나 개정된 당규약에는 기존의 총비서 권한 대부분을 새로 신설된 제1비서의 권한으로 옮기는 내용이 추가되고 이에 맞춰 조직도 개편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총비서의 당중앙군사위 위원장 겸임 조항이 제1비서의 겸임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은 2010년 9월 당규약을 개정하면서 비상설 협의기구 성격이 강했던 당중앙군사위를 “당대회와 당대회 사이에 군사분야에서 나서는 모든 사업을 당적으로 지도하는” 상설 군사정책결정기구로 강화한 바 있다. 김 총비서의 사망으로 위원장직이 공석이 된 당중앙군사위원회는 김정은 제1비서와 리영호 총참모장이 함께 부위원장을 맡아왔다.
북한은 이날 당대표자회를 계기로 당 체제 정비를 마무리한 셈이 됐다. 13일 최고인민회의를 열어 정부 조직 정비와 법령 개정 등을 마무리하면, 김정은 체제는 김정일 총비서 사망 넉달 만에 임시적 성격을 벗어나게 된다. 이런 정치일정은 과거 1994년 김일성 사망 당시와 견주면 매우 빠른 것이다. 김정일 총비서는 당시 ‘3년상’을 치른 뒤인 97년 총비서를 승계하며 ‘유훈통치’를 공식 마무리했다. 북한이 94년 당시와 달리 체제 정비를 서두른 것은 대내외적으로 김정은 체제의 조기 안정을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 당국자는 “김정일 총비서는 74년 당중앙위 제5기 8차 전원회의에서 후계자로 확정돼 80년대 중반부터는 사실상 국정 전반을 관장해온 만큼 권력 공백이 크지 않았다”며 “반면 2009년 1월 후계자로 내정된 김정은 제1비서는 자신만의 권력 기반을 구축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일찍 권력 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전두환 부인 이순자씨 “연좌제도 아닌데, 아들이 대납 못해”
■ 강남을 정동영 캠프 “투표율 너무 낮다” 탄식
■ 149명 탄 대한항공기 ‘폭파위협’ 캐나다 비상착륙
■ 노원 간 김어준 “쫄지마 돼지, 수고했어”
■ 도 넘은 이포보 취재 방해…휴대전화도 빼앗아
■ 전두환 부인 이순자씨 “연좌제도 아닌데, 아들이 대납 못해”
■ 강남을 정동영 캠프 “투표율 너무 낮다” 탄식
■ 149명 탄 대한항공기 ‘폭파위협’ 캐나다 비상착륙
■ 노원 간 김어준 “쫄지마 돼지, 수고했어”
■ 도 넘은 이포보 취재 방해…휴대전화도 빼앗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