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선·황금평 공동개발 협정 의미
공동개발 관리위원회 설립·전력공급 서명
중 언론, 회의직후 ‘관계 전면회복’ 등 보도
중 천젠 부부장 “경협확대·협력 성장점 발굴”
공동개발 관리위원회 설립·전력공급 서명
중 언론, 회의직후 ‘관계 전면회복’ 등 보도
중 천젠 부부장 “경협확대·협력 성장점 발굴”
장성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은 북-중 경협의 상징적 사업인 나선·황금평 사업의 돌파구를 만들어내기 위해 적극 움직였다. 북한은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최고위급인 장성택 방중을 통해 북-중 관계를 전면 회복하겠다는 신호를 보냈다. 중국도 이에 적극 화답하는 모양새다.
장성택 부위원장과 천더밍 중국 상무부장이 수석대표로 나선 14일 회의에서 북·중 양국이 나선과 황금평·위화도 공동 개발을 맡을 2개의 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경제 특구 개발·운영에 필요한 구체적 협정에 서명한 것은 그동안 교착상태에 빠진 이들 사업을 다시 본궤도에 올리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나선 지구에는 인접한 중국 지린성에서 전력이 공급될 것으로 보이며, 나선·황금평의 통신 시설 확충, 통관 간소화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양쪽은 이전부터 관리위원회 설치를 논의해 왔으나, 이를 공식 출범시킴으로써 개발을 본격화할 계기를 마련했다.
북한과 중국은 2010년 5월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 때 나선과 황금평을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했으나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중국은 낙후된 동북 3성의 물류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선의 항구 확보와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지만, 기반시설 공사 등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황금평 개발에는 미온적으로 대처해 왔다. 반면 북한은 인접한 신의주 개발을 염두에 두고 황금평에 큰 관심을 두면서, 나선항이 중국에 독점되는 것은 경계하는 상황이었다. 이번에 구체적 합의를 이룬 것은 양측이 이견을 어느 정도 좁혀가는 신호로 보인다.
나선·황금평 개발의 최고 사령탑인 장 부위원장은 이번 회의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중국의 과감한 투자와 지원을 요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날 공개한 내용 외에 예상보다 큰 경제 지원 등 선물 보따리를 안겼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장성택의 이번 방중은 김정일 위원장 사후 다소 소원해졌던 북-중 관계를 전면 정상화하겠다는 북한의 신호”라며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장성택을 빈손으로 돌려보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성택의 수행원에 군을 뺀 당·정·경제 관련 주요 인사들이 모두 포진한 것은 이번 방문이 나선·황금평 협의에 머물지 않고 북-중 관계 전반의 개선을 목표로 했다는 신호로 읽힌다. 북한 외자 유치의 핵심인 합영투자위원회의 리수용(이철) 전 위원장과 리광근 위원장, 북-중 관계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고 있는 김영일 국제부장, 김형준 내각 외무성 부상 등이 눈에 띈다.
중국은 회의가 끝나자마자 상무부 사이트와 <신화통신>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등을 통해 이날 회의 내용을 적극 공개하면서, 북-중 관계 전면 회복과 북-중 경협의 진전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 정부 차원에서 북-중 경협을 적극 확대하겠다는 발언도 나왔다. 천젠 중국 상무부 부부장은 14일 <인민일보> 기고를 통해 “중국의 실력 있는 기업들이 북한에 투자해 북한과의 경제·무역 협력을 확대하도록 지원할 것이며, 양국 무역과 투자구조를 업그레이드하고 대규모 협력 프로젝트의 가능성을 검토해 새로운 협력 성장점을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이 요구해온, 중국 주요 기업들의 대북한 투자를 적극 촉구하겠다는 선언이다.
장 부위원장 일행은 14일 오후 지린성 창춘을 향해 떠났으며 동북 3성 일대 시찰을 통해 나선·황금평 개발을 구체화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할 것으로 보인다. 황금평에 인접한 랴오닝성 단둥 등에 들를 가능성도 관측된다. 이후 베이징에 돌아와 후진타오 주석이나 차기 지도자인 시진핑 부주석 등과 면담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자리에선 김정은 방중을 포함한 양국 관계 전반의 현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장 부위원장에게 조어대 숙소를 제공하는 등 예우했지만, 장 부위원장은 특별기 편이 아닌 중국국제항공의 일반 항공편으로 중국에 도착하는 등 2인자로서 몸을 낮추는 조심스런 자세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김규원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