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북 리젠궈 정치국 위원이 건네
김정은 초청·로켓발사 언급 촉각
김정은 초청·로켓발사 언급 촉각
김정은 조선노동당 제1서기는 30일 평양에서 북한을 방문한 리젠궈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 겸 전인대 부위원장을 만나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의 친서를 전달받았다. 시 총서기가 어떤 메시지를 전달했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방송>과 중국 <신화통신>은 이날 면담에서 리젠궈 위원이 “중-조(북-중) 전통 우호관계를 굳게 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공산당 새 지도 체제의 확고한 의지”라는 시진핑 총서기의 뜻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면담은 중국의 시진핑 체제가 들어선 뒤 열린 북-중 간의 첫 고위급 만남이다.
이들 언론은 김 제1비서가 중국 공산당 대표단으로부터 시진핑 총서기의 친서와 선물을 전달받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친서의 내용에 대해서는 북한과 중국 언론 모두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시 총서기의 친서는 지도부 교체에 따른 관례적인 인사를 담았을 것으로 보이나, 시 총서기가 김 제1비서의 중국 방문을 초청하는 내용이나 최근 우려가 제기되는 북한의 로켓 발사와 관련한 내용이 담겼을 가능성도 있다.
김정은 제1비서는 이 자리에서 시 총서기의 취임을 축하한 뒤 “중국 인민이 시 총서기를 중심으로 하는 중국 공산당의 지도하에서 18차 당대회 정신을 관철하는 데 더 큰 승리를 거둘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김 제1비서가 북한의 최고 지도자로서 외국 대표단을 면담한 것은 지난 8월 방북한 왕자루이 대외연락부장을 만난 뒤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면담에는 북한 쪽에서 김기남·김양건 당 비서, 김성남 당 국제부 부부장 등이 배석했고, 중국 쪽에서 왕자루이 대외연락부장, 왕샤오후이 중앙선전부 부부장, 류제이 대외연락부 부부장, 류훙차이 북한 주재 중국대사 등이 참석했다.
이남주 성공회대 교수는 “북한과 중국은 주요 정치 행사 뒤 서로 내용을 설명하는 교환 방문을 해왔다. 이번 만남에서는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중국의 원칙적 입장 표명 외에 북한 미사일과 핵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반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현재 북한의 로켓 발사 가능성이 70% 정도에 이른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중국이 친서를 통해 북한에 절제적 행동을 완곡하게 요구했을 가능성이 있다. 김정은의 방중은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까지는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안철수 지지 자살소동남 “나는 절대 새누리당 알바가 아니다”
■ ‘이명박근혜’ 조어 “원조는 한나라당”
■ ‘경제민주화’ 박근혜 의지 있어? 문재인 능력 있어?
■ 한상대, ‘사퇴’로 마음 바꾼 이유
■ 남성연대 “여성부 축소한다니 박근혜 지지”
■ 살인은 왜 가까운 사이에서 일어날까
■ 오늘 당장 써먹을 수 있는 ‘작은 가게 성공비결’
■ [단독] 안철수 지지 자살소동남 “나는 절대 새누리당 알바가 아니다”
■ ‘이명박근혜’ 조어 “원조는 한나라당”
■ ‘경제민주화’ 박근혜 의지 있어? 문재인 능력 있어?
■ 한상대, ‘사퇴’로 마음 바꾼 이유
■ 남성연대 “여성부 축소한다니 박근혜 지지”
■ 살인은 왜 가까운 사이에서 일어날까
■ 오늘 당장 써먹을 수 있는 ‘작은 가게 성공비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