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1990년 ‘노동1호’가 처음…1998년 ‘대포동1호’ 1600㎞ 비행

등록 2012-12-12 21:53수정 2012-12-12 23:01

북 로켓발사 역사는
오늘의 ‘은하3호’까지 이어진 기술적 토대를 감안하면, 북한의 로켓 발사 역사는 1990년 국제사회에 처음 알려진 ‘노동1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북한은 ‘화성7호’라고 부르고 있지만, 국제사회에선 미 정찰위성이 1990년 5월 처음 발견한 곳의 지명(함경남도 함주군 노동리)을 따 노동1호라는 이름이 붙었다. 북한의 첫 장거리 미사일인 노동1호는 몇 차례 개량 과정을 거치면서 이란, 파키스탄 등에 기술과 부품이 수출됐다. 북한은 1993년 노동1호를 함경북도 화대군 대포동에서 동해로 시험발사했다.

1998년 8월 북한이 발사한 ‘대포동1호’(북한 이름 ‘백두산1호’)는 첫 다단계 추진체였다. 1단계 로켓으로 노동1호를 사용했고, 1, 2단계 분리까지는 성공했으나 궤도 진입에는 실패한 채 1600㎞가량을 날아 태평양에 떨어졌다. 당시 ‘대륙간 탄도미사일’이라고 표현한 한국 정부와 달리, 미 국무부는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아주 작은 위성(광명성1호)을 지구 궤도에 올리려고 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결론지었다”고 밝혔다.

대포동1호가 대포동2호(북한 이름 ‘은하1호’)로 개량되면서 비행 가능 거리는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대포동1호는 1700~2200㎞ 수준이었지만, 대포동2호는 4000~6000㎞까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2006년7월 시험발사 때 대포동2호는 1단 추진체가 분리되지도 못한 채 42초만에 공중에서 추락했다.

은하2호부터는 국제사회도 북한식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2009년4월 북한은 인공위성 광명성2호를 탑재한 운반로켓 은하2호를 발사했다. 북한 당국은 발사 9분2초만에 광명성2호가 궤도에 진입했다고 발표했지만, 2단 추진체는 태평양 3846㎞ 지점에 떨어졌고, 3단분리는 실패했다. 북한은 지난 4월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장에서 인공위성 광명성 3호를 탑재한 은하3호를 발사했으나, 1단분리 실패로 2분 만에 공중에서 폭발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발사 직전까지 “발사 어려울 것”…MB정부 총체적 ‘안보 무능’
대선전 막판 여론조사…박·문 초박빙 혼전세
비밀투표 맞아? 속 훤히 비치는 부재자투표 봉투 논란
북풍 못잖게 세진 역풍, 선거 이용하려다가…
수리 맡긴 베엠베 차 폐차지경 만들어놓고…
[화보] 국정원 불법선거운동 공방…한밤 대치
[화보] ′북한, 장거리 3단 로켓 은하3호 발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