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정부·경찰 움직임 긴박
박 대통령 “조속 복구·철저 규명”
국방부 “북소행 가능성 예단못해”
경찰, 사이버테러 수사팀 급파
박 대통령 “조속 복구·철저 규명”
국방부 “북소행 가능성 예단못해”
경찰, 사이버테러 수사팀 급파
일부 방송사와 금융기관의 전산망이 해킹으로 마비된 20일 오후 청와대와 정부는 급박하게 움직였다.
청와대는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국가위기관리상황실(이른바 ‘지하벙커’)에서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을 보고받으며 대응책을 강구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상황 발생 10분 뒤인 오후 2시50분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에게 관련 보고를 받은 뒤 “조속히 복구부터 하라. 또 원인 파악을 철저히 해 대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고 김행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정부는 민·관·군 및 국가정보원의 합동대응팀인 사이버위기대책본부를 꾸려 실시간 대처에 나섰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군의 정보작전방호태세인 ‘인포콘’을 4단계(증가한 군사경계)에서 3단계(향상된 준비태세)로 한 단계 격상했다. 전산망 마비 사태와 관련한 조사는 국가정보원이 주도하고, 군에서도 사이버사령부와 기무사, 각 군의 컴퓨터 긴급보안 대응팀(CERT) 등이 사태 해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오후 브리핑에서 “현재 군 전산망은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군 전산망 해킹을 위한) 외부 공격 시도는 없었다”고 말했다. 북한 소행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예단하기도 어렵다. 원인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방송사와 은행들의 전산망 마비 신고가 접수되자 곧바로 수사전담반을 편성하고, 전산망 마비가 일어난 5개 언론사·금융기관에 보내 수사에 나섰다.
현장에 도착한 수사관들은 보안 전문가들과 함께 사고의 원인을 찾고 있다.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피해 입은 컴퓨터를 확보해 악성코드 감염 여부 등을 확인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경찰은 여러 언론사와 금융기관의 전산망에 동시다발적으로 장애가 발생한 점으로 미뤄 통신망 자체의 결함보다는 해킹이나 악성코드 유포 등 사이버테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신속한 복구와 재발방지 대책을 주문했다.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은 논평을 내어 “정부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의 원인을 철저하게 파악해 유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전산망의 신속한 복구를 주문했다. 박용진 민주통합당 대변인은 “피해 복구가 최우선이며, 관계당국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실질적인 재발방지책을 내놓기를 촉구한다. 섣부른 예단으로 혼선을 가중시키고 국민적 불안을 가중시키는 일은 없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외현 박현철 정환봉 기자 oscar@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권미진이 마시고 50kg 뺐다는 ‘해독주스’ 마셔보니…
■ ‘IT 한국’ 비웃은 사이버공격, 대체 누가 왜?
■ 새차 주행중 시동 꺼져도 교환 꿈도 꾸지마?
■ 김병관, 이영수 KMDC회장과 다른 연줄도 많다
■ 노후봉양 말만 믿고 자식에 재산 줬다간 낭패
■ 권미진이 마시고 50kg 뺐다는 ‘해독주스’ 마셔보니…
■ ‘IT 한국’ 비웃은 사이버공격, 대체 누가 왜?
■ 새차 주행중 시동 꺼져도 교환 꿈도 꾸지마?
■ 김병관, 이영수 KMDC회장과 다른 연줄도 많다
■ 노후봉양 말만 믿고 자식에 재산 줬다간 낭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