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중 4차 초안에 예스해야”
“한국쪽 송전제안 좋아…오늘 저녁 북하고 다시 만날것”
“북한은 오늘을 ‘경수로의 날’로 만들고 싶어했다. 그러나 우리는 이번주가 ‘경수로 주간’이 되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14일 경수로 문제가 더 이상 회담 테이블에 올라선 안 된다는 미국 쪽의 입장을 이런 비유법으로 재확인했다. 힐 차관보는 이날 북-미 양자협의를 마친 뒤 숙소인 중국대반점에서 기자들에게 “오늘 북한과 양자협의에서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말했다.
힐 차관보의 이런 언급은 ‘오늘은 첫 만남이니 북한의 입장을 들었지만, 북한이 앞으로 계속 경수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그는 이날 20분 가까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면서 시종일관 북한의 경수로 주장을 비판했다. 그는 “북한은 경수로가 공동문건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이에 우리는 (그럴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설명했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북한의 경수로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는 근거로 세 가지를 들었다. 우선 △중국의 공동문건 4차 초안에 이 문제가 포함돼 있지 않으며 △참가국 가운데 어느 나라도 경수로에 돈을 대려 하지 않고 △이를 대체할 한국의 중대제안이 이미 제시됐다는 것이다.
그는 “중국의 4차 초안은 매우 포괄적이고 훌륭한 접근법을 담고 있다”며 “북한은 이에 ‘예스’라고 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을 비롯해 어떤 참가국들도 경수로에 자금을 댈 준비가 돼 있지 않다”며 “경수로 건설에는 10년이 걸리고 20억∼30억달러의 자금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북한이 원하는 게 전력이라면 한국의 좋은 제안이 있다”며 “한국의 제안이 더욱 좋은 점은 전력을 공급하는 데 2년반밖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부연하기도 했다.
북한은 이날 북-미 협의에서 어떤 경수로를 원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힐 차관보는 ‘북한의 핵개발 전력’을 들어, 어떤 경수로든 받아들일 수 없음을 분명히했다. 그는 “북한이 평화적 핵이용 권리를 얘기하는데, 영변의 흑연감속로는 단 하나의 전구도 밝힌 적이 없다”며 “북한은 25년 동안 이를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데 사용했을 뿐”이라고 비난했다.
힐 차관보의 말만 들으면, 전망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그는 “내일 아침에는 (취재진들에게) 새롭게 할 말이 없을 것”이라며 “저녁쯤에 북한과 다시 만날 것 같다”고 말했다. 내일 저녁이 돼도 협상의 진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말로 들린다.
언제쯤 회담이 끝날 것 같냐는 질문에 그는 이렇게 말했다. "모두 가고 싶지만 현재로서는 말할 수 없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언제쯤 회담이 끝날 것 같냐는 질문에 그는 이렇게 말했다. "모두 가고 싶지만 현재로서는 말할 수 없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