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7일 로켓 발사에 대응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긴급회의가 8일 오전 1시(뉴욕 현지시각 7일 오전 11시)에 개최될 예정이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7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외교부 청사)에서 약식 기자회견을 열어 “한·미·일 3국이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청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한·미·일 3국의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 2087호(2012년 12월 북한의 은하 3호 발사 대응)와 2094호(2013년 2월 3차 핵실험 대응)에 근거를 두고 있다. 특히 유엔 안보리 결의 2094호는 “북한의 추가 발사 또는 핵실험 때 ‘추가적인 중대한 조치(further significant measures)’를 취한다는 이른바 ‘트리거(trigger) 조항’을 담고 있어 안보리 긴급이사회가 자동소집되도록 돼 있다. 북한이 1월6일 4차 핵실험을 했을 때도 이 조항에 따라 당일에 유엔 안보리 긴급이사회가 소집돼 “중대한 추가 조처”를 예고한 바 있다.
윤 장관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강행으로 북한의 4차 핵실험 뒤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진행돼온 대북 제재 결의 협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정부는 안보리 차원의 제재 논의와 더불어 미·일·유럽연합·호주 등 우방국과 양차 차원의 독자적 제재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이날 중으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전화 협의를 하는 데 이어, 독일 뮌헨 안보회의(12~14일) 참석 계기에 뉴욕 유엔본부를 방문해 안보리 이사국들과 대북 제재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