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응해 우리 군이 최전방 지역에 이동식 대북 확성기를 추가 투입했다. 북한군도 이동식 확성기를 가동하며 맞대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10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직후 최전방 지역에 이동식 확성기를 추가 투입하고 대북 확성기 방송 시간도 늘렸다”고 밝혔다. 현재 최전방 11곳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는 고정식 확성기에 더해 차량에 탑재된 이동식 확성기 대수를 늘렸다는 얘기다. 구체적으로 몇 대의 이동식 확성기를 투입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동식 확성기는 고정식보다 출력이 뛰어나고 기습적 방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군 당국자는 “시설별로 하루 2~6시간 내보내던 대북 확성기 방송 시간도 늘렸다”면서도 방송을 얼마나 늘렸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동식 확성기 추가 투입은 로켓 발사 이후 정부의 대북 공세 강화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응해 북한군도 이동식 확성기를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군의 이동식 확성기 음향을 상쇄하기 위해 고정식 확성기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군은 7일 로켓 발사 이후 대남 확성기 방송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군은 지난달 중순 이후 대남 전단을 뿌리며 심리전에 대응해왔다.
군은 지난달 8일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바 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