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분기별 여론조사 결과…코리아리서치 성인남녀 1000명 대상
최우선 과제 ‘남북관계 개선’, 북한인권 위해 ‘교류 협력·인도적 지원 필요’
최우선 과제 ‘남북관계 개선’, 북한인권 위해 ‘교류 협력·인도적 지원 필요’
통일부의 분기별 여론조사에서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박근혜 정부의 통일·대북정책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여론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 준비의 최우선 과제로 ‘남북관계 개선’ 등이 꼽혔고, 북한을 ‘지원’ 대상으로 보는 비율은 늘어난 반면 ‘적대시’ 대상으로 꼽은 비율은 줄었다.
박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일부에서 받아 4일 공개한 ‘2016년 2분기 통일 및 대북정책 관련 여론’(코리아리서치 전국 성인남녀 1000명 대상 조사) 보고서를 보면, 정부의 대북정책을 부정 평가하는 이들은 46.9%로, 긍정 평가하는 이들(45.9%)보다 많았다. 통일부가 실시해온 이 조사에서 부정 평가가 높아진 것은 지난해 8월 남북고위급회담 이후 처음이다. 정부의 대표적 대북정책이지만 유명무실해진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해선 찬성률이 1분기보다 3.0%포인트 떨어진 61.1%였다.
통일 준비의 최우선 과제로는 ‘남북관계 개선’(31.6%)과 ‘국민적 공감대 확산’(30.7%)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지난 분기에 견줘 북한을 ‘지원해야 하는 대상’(13.1%→18.8%)으로 보는 이들은 늘어난 반면, ‘적대시해야 하는 대상’(19.4%→16.7%)이라고 답한 이들은 줄었다. 북한주민들의 인권증진을 위해서는 ‘교류 협력과 인도적 지원’(34.22%)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국제사회의 제재와 압박’(29.6%)이 꼽혔다.
정부의 통일 준비 활동에 대한 긍정 평가는 지난해 3분기부터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이번 조사에서는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직전 분기보다 5.1%포인트 줄어든 44%를 기록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