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신문> 6일 개인 명의 논평 실어
“과격성·조급성 땅 투기에선 통해도
정치에선 부정적 후과 가져올 수도”
“과격성·조급성 땅 투기에선 통해도
정치에선 부정적 후과 가져올 수도”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새로운 대북정책 ‘최대의 압박과 관여’와 관련해 “새로운 것은 없다”며 ‘이름만 바꾼 대북 적대시정책’이라고 비판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일 6면에 실은 ‘미국은 우리 천만군민의 불굴의 의지를 똑바로 보아야 한다’는 제목의 개인 명의 논평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오바마 행정부가 추진한 ‘전략적 인내‘의 시대는 끝났다고 공언”하지만 “무모한 군사력 사용안과 경제, 외교적 제재와 압박을 극도로 강화하는 안들을 골라잡고 그것들을 하나로 포장한 다음 ‘최대의 압박과 관여’라는 상표를 붙여놓았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신문은 특히 케이토연구소의 더그 밴도우 선임연구원이 지난달 미 격월간 <내셔널인터레스트>에 기고한 ‘전략적 조급은 북한을 이길 수 없다’는 글을 소개하며 “밴도우의 평이 정확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과격성과 조급성이 부동산 투기업에서는 은을 낼지 몰라도 정치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부정적 후과를 가져올 수 있다. 우리와의 대결에서는 더욱 그러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북한의 이런 반발은 지난 1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에 뒤이은 것이다. 당시 외무성 대변인 담화는 “미국이 새로 고안해낸 ‘최대의 압박과 관여’라는 대조선정책에 매여달리면서 우리에 대한 전면적인 제재압박소동에 열을 올리고 있는 조건에서 우리의 핵억제력 강화 조치도 최대의 속도로 다그쳐질 것”이라고 결기를 세운 바 있다. 그러나 북한의 반발이 트럼프 행정부의 새 대북정책에 대한 전면 거부를 뜻하는 것이라고 속단하긴 아직 이르다. 외무성 대변인 담화나 개인 논평 형식으로 북한의 원칙적 입장을 밝혔다는 점에서 미국의 진의를 에둘러 떠보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