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남측위 공동행사 제안에 북측 화답
정부 승인하면 2008년 중단 이후 공동행사
이번주 정부에 100명 규모 방북신청 계획
정부 승인하면 2008년 중단 이후 공동행사
이번주 정부에 100명 규모 방북신청 계획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북한이 남북 접촉에 응했다. 2008년 이후 중단됐던 남·북·해외동포의 6.15 민족공동행사 개최 전망도 밝아졌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상임대표의장 이창복·남측위) 5일 오후 자료를 내어 “북측위가 오는 6.15 공동선언 17주년을 기념하는 민족공동행사를 평양에서 열자고 제안해왔다”고 밝혔다. 민간 차원이긴 하지만, 북이 남쪽과 통신을 주고 받은 것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달 28일 6.15 공동행사 개최를 위해 남측위가 낸 대북 접촉 신청을 승인했다.
남측위 관계자는 “접촉 승인이 난 뒤 북쪽에 방북단의 편의를 위해 개성 지역에서 공동행사를 열자고 제안했으나, 경의선 통행·통관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 어렵다는 입장을 북쪽이 보내왔다”며 “행사가 북쪽 지역에서 열리는 만큼, 장소에 대한 북쪽의 의견을 존중해 평양에서 추진하자는 의견을 수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쪽은 회신에서 남쪽 정부가 국제적 대북 제재에 함께 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행사까지 불과 열흘이 남은 상황이어서, 남측위는 방북할 대표단 명단과 행사내용·세부계획 등에 대한 추가 협의를 거쳐 이르면 이번 주 안에 정부에 방북 신청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접촉 대상과 목적만 밝히면 되는 대북 접촉 신청과 달리 방북 신청은 북쪽의 초청장과 신변안전보장 각서 등을 갖춰야 정부의 승인을 받을 수 있어 시일이 걸리기 때문이다.
앞서 이 단체 이창복 상임대표의장은 지난 2일 <한겨레> 인터뷰에서 “공동행사를 위한 방북단은 김대중평화센터와 노무현재단을 비롯해 7대 종단과 시민·사회단체 대표 등 100명 정도 규모로 꾸릴 계획”이라며 “정부가 안심하고 믿을 수 있는 분들로 채울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국제 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민간 차원의 남북 교류는 유연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