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다음달 실지감사 착수
22조원에 이르는 천문학적 예산이 들어간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해 감사원이 4번째 감사에 나선다. 이번 감사에서 감사원은 앞선 3차례 감사 때 들여다보지 않은 4대강 사업 정책결정 과정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은 13일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등을 대상으로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실태 점검 및 성과분석’ 감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감사원 관계자는 “지난달 24일 4대강 사업의 수질관리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 대한 공익감사가 청구됐고, 최근까지 청구 내용에 대한 관계기관의 의견을 제출받는 등 사전조사를 실시했다”며 “그 결과를 기초로 지난 9일 공익감사청구자문위원회가 열려 추가 감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와 감사를 실시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2일 4대강 사업에 대한 정책감사를 지시한 데 이어, 이틀 뒤인 24일엔 환경단체 연대기구인 한국환경회의가 시민 303명의 서명을 받아 감사원에 4대강사업에 대한 공익감사를 청구한 바 있다. 환경회의 쪽은 당시 감사 청구서에서 “4대강 사업은 실패할 것이 뻔한 토목사업이었음에도 어떤 과정을 통해 이명박 정부 제1의 국정과제가 됐는지, 왜 어떤 정부기관도 제동을 걸지 않았는지에 대한 감사가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감사원은 이번 감사에서 △정책결정 과정 △계획 수립과 건설공사 △수질 등 사후관리 △성과분석 등 4대강 사업의 전반을 두루 살필 방침이다. 4대강 사업 정책결정 과정은 앞선 3차례 감사에선 다뤄지지 않은 내용이다.
실제 지난 2011년 1월 발표된 4대강 사업에 대한 감사원의 1차 감사는 공사 진척률이 50%에 육박하던 때 이뤄져, 감사도 사업 세부계획 수립과 이행실태에 맞춰졌다. 당시 감사원은 약 5천억원 규모의 예산낭비 사례를 밝혀냈지만, 예비타당성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등 법적 절차를 무시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특별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발표해 논란이 인 바 있다.
4대강 사업 공사가 사실상 마무리된 상황에서 발표된 2차(2013년 1월)와 3차(2013년 7월) 감사 때는 4대강 사업이 총체적 부실이라는 점과 공사 참여업체의 담합(짬짜미) 의혹을 밝혀냈다. 하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이 ‘대운하 포기’를 선언했음에도 국토부가 청와대의 요청에 따라 4대강 사업을 대운하 추진을 염두에 두고 설계하게 된 과정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밝혀내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번 감사에선 4대강 사업이 대운하를 염두에 둔 사업으로 바뀌게 된 과정과 이유, 그에 따른 책임관계를 따질 수밖에 없어 보인다. 시기적으로 보면, 4대강 사업 착공 이전 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부에서 어떤 얘기가 오고 갔는지를 들여다봐야 한다는 얘기다.
앞서 지난달 22일 문 대통령의 4대강 정책감사 지시 배경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이명박) 정부가 왜 이렇게 성급하게, 조급하게, 졸속으로 이 대규모 국책사업을 시행했던가에 대해서 확인해보고 싶은 판단이 깔려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감사원 관계자는 “조만간 예비조사에 착수해 다음달 안에 실지감사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