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발사 조짐’ 외신에 정부 촉각
정부의 군사당국회담 제의에 북한이 26일 오후까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베를린 구상’을 통해 제안한 7·27 정전협정일에 맞춘 ‘군사분계선 내 상호 적대행위 중단’은 사실상 무산된 셈이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우리 쪽의 군사당국회담 제의에 대해) 북한의 반응이 없는 상황”이라며 “대화의 ‘데드라인’은 없고, 정부는 차분하고 담담하게 북쪽의 호응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북한은 정부가 8월1일 열자고 제의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한 남북 적십자회담에 대해서도 일체의 언급이 없다. 이에 대해서도 정부는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 백 대변인은 “북한과의 대화는 그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많았다. 잘 되는 경우는 잘 되는 경우대로, 또 어려운 상황은 어려운 상황대로 거기에 맞춰서 차분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이른바 ‘전승기념일’로 부르는 27일을 전후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조짐이 있다는 외신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별도로 점검할 것으로 보는데, 국방·외교부와 함께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최후승리의 7·27을 안아오고야 말 것이다’란 제목의 논평에서 “우리가 나라의 경제발전도 인민생활 향상도 그 누구의 도움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체적인 (핵·경제) 병진노선과 불패의 자강력으로 이루어 나가고 있는 오늘, 적들의 그 어떤 제재나 봉쇄도 통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정인환 김규남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